8월 26일 홈(부산 사직구장) KT 위즈전은 올 시즌 롯데 자이언츠 레이스에서 가장 값진 승리로 남을 것 같다.
롯데는 26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2025 KBO리그 정규시즌 KT 위즈와의 홈 주중 3연전 1차전에서 4-3 신승을 거뒀다. 선발 투수 나균안이 6이닝 동안 2실점을 기록하며 호투했고, 타선은 1·2·4·5회 각각 1점씩 내며 4점을 지원했다. 7회부터 가동된 불펜진이 KT 추격을 막아냈다.
롯데는 지난 7일 KIA 타이거즈전부터 12연패를 당했다. 무승부로 끝난 17일 삼성 라이온즈전, 21일 LG 트윈스전을 포함하면 15경기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롯데는 13연패 기로였던 24일 창원 NC 다이노스전에서 타선이 폭발하며 17-5 대승을 거두고 비로소 연패를 끊었다. 백업이지만 지난주 내내 타격감이 좋았던 내야수 박찬형과 이호준이 각각 5타수 4안타 4타점, 6타수 3안타 2타점을 기록하며 팀 공격을 이끌었다.
사실 24일 NC전 대승은 롯데가 정상 궤도로 진입했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조건이었다. NC는 올 시즌 1군에 데뷔한 이준혁을 '오프너'로 썼다. 롯데가 가장 많은 득점(6)을 뽑아낸 투수 김태훈은 신인이었다. 통상적으로 두 자릿수 안타·득점을 쏟아내며 몰아친 다음 경기는 타선이 침묵하는 경향도 있다.
하지만 롯데는 연패를 끊고 맞이한 첫 경기, 26일 KT전에서 모처럼 완벽한 경기력을 보여줬다. 보름 넘게 신음한 롯데팬을 달래는 희망찬 스토리가 쏟아졌다.
일단 롯데는 올 시즌 3번 만나 타율 0.190, 경기당 2.04득점에 그친 '천적' 오원석을 잘 공략했다. 12연패 탈출 주역 박찬형이 1번 타자로 나서 3안타를 치며 '공격 선봉장'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했고, 고승민도 적시타 2개를 쳤다.
필승조는 모처럼 홀드와 세이브를 모두 챙겼다. 팔꿈치 통증을 다스리고 지난 20일 1군에 복귀했지만, 팀이 리드하고 있는 상황이 좀처럼 나오지 않아 제 임무를 하지 못했던 '셋업맨' 최준용은 7회와 8회 2이닝을 1피안타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홀드를 기록했다. 마무리 투수 김원중도 4-2로 앞선 9회 초 마운드에 올라 피안타와 폭투, 땅볼 타점을 차례로 허용하며 1점 내줬지만, 결국 리드를 지켜냈다.
타선과 구원진의 지원을 받은 선발 투수 나균안은 6월 19일 부산 한화 이글스전 이후 무려 10경기 만에 승리 투수가 됐다. 그는 지난 9경기에서 퀄리티스타트(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 5번, 평균자책점 3.44, 피안타율 0.256를 기록하며 에이스급 투구 내용을 보여줬지만, 1승도 거두지 못했다. 타선 지원이 적거나 불펜이 리드를 지키지 못했다.
나균안의 승리는 상징성이 있다. 롯데 페이스가 가장 좋았을 때 승리 공식이 재연됐다. 12연패 탈출 직구, 도약 의지가 충천한 상황에서 나와 더욱 고무적이다. 롯데가 다시 3강 진입을 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