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SK와 LG의 2024~2025 KCC 프로농구챔피언결정 5차전. SK가 86-56 으로 승리했다. 경기종료후 전희철 SK 감독이 조상현 LG 감독과 인사하고있다. 잠실학생체=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2025.05.13.
전희철 서울 SK 감독이 벼랑 끝에서 다시 한번 살아남았다. 사령탑은 승리의 공을 선수단에 돌리면서, “창원을 도서관으로 만들 수 있는 경기력을 보여준다면 이길 수 있다”라고 웃어 보였다.
SK는 13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창원 LG와의 2024~25 KCC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7전 4승제) 5차전에서 86-56으로 크게 이겼다.
벼랑 끝에 몰린 SK의 저력이 다시 한번 발휘됐다. 1~3차전의 3연패 부진을 잊고 2연승을 내달렸다. 모두 25점 차 이상의 대승이다.
전희철 감독은 5차전을 앞두고 “지난 4차전 승리 때 SK다운 모습을 되찾은 것 같다”며 막힌 혈이 뚫렸다고 조명했다. 감독의 진단은 정확했다. SK는 이날 특유의 속공으로만 12점을 넣었다. 상대 턴오버를 득점으로 응징하며 특유의 빠른 템포로 상대 기세를 완전히 꺾었다. 지난 4차전 당시 챔프전 단일 경기 역대 최소 득점(48점)으로 자존심을 구겼던 LG는 이날 쿼터 종료 7분 50초를 남기고 주전을 모두 빼며 백기를 들었다.
전희철 감독은 경기 뒤 취재진과 만나 “인터뷰 자주해서 힘들다”라고 농담한 뒤 “예상한 대로 경기 초반에 상대가 강하게 나왔다. 우리 선수들이 기싸움에서 밀리지 않았고, 모두 자기 역할을 해줘서 이길 수 있었다. 오늘 같은 경기에선 열심히 안 뛴 선수가 없었을 거다. 칭찬해 주고 싶다”라고 박수를 보냈다. 13일 오후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SK와 LG의 2024~2025 KCC 프로농구챔피언결정 5차전. SK 전희철 감독이 3세트 후반 팀이 큰점수차로 리드하자 주먹을 불끈쥐며 선수들과 기뻐하고있다. 잠실학생체=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2025.05.13. 정규리그 1위의 위엄을 되찾았다는 진단이다. 전희철 감독은 “자밀 워니 선수가 ‘게임을 이기는 게 아니라, 1쿼터씩 이기자’고 말했다. 우리가 4,5차전 8개의 쿼터에서 모두 이겼다. 하나씩 차근차근 이기겠다는 의미였던 거 같은데, 선수들이 잘해줬다. 지난 4차전부터 리듬을 찾았다고 생각했다”라고 호평했다.
0승 3패로 시작한 시리즈가 2승 3패까지 끌고 왔다. 오는 15일 창원체육관서 열리는 6차전에서 이긴다면 시리즈 동률이 된다. 전희철 감독은 “힘들 거 같다. 창원 팬들이 워낙 강하다”면서도 “우리 선수들의 경기력을 믿는다. 오늘 같은 모습으로, 창원체육관이 도서관이 될 수 있는 경기력을 보여준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잠실로 돌아오겠다는 생각 말고, 창원에서 이기는 게 첫 번째다. 선수들이 본인들의 경기력에 대한 믿음이 있을 것이다. 그게 자신감이고, 큰 소득”이라고 반겼다.
“우리 선수들이 마음만 먹으면 잘 한다”라고 거듭 칭찬한 전희철 감독은 “어떤 감독이 하루이틀 만에 팀을 바꾸겠나. 우리가 정규리그 때부터 보여준 수비 방식과 결과였다. 선수들이 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다. 주문한 별도의 타이밍도 있었지만, 선수들이 잘해준 거”라고 공을 돌렸다.
이날 SK 입장에서 반가운 건 국내선수 최우수선수(MVP) 안영준(21점)의 부활이다. 그는 지난 1~3차전에서 다소 부진했는데, 4,5차전에선 두 자릿수 득점을 몰아치며 승리에 힘을 보태고 있다. 전희철 감독은 “따로 미팅한 건 아니었다. 1차전 때는 우리가 당한 게 맞다. 3차전부터는 많은 변화를 줬다. 안영준 선수에겐 포스트업 공격을 요구했다. 사실 선수가 감독이 요구한 모든 걸 수행할 순 없지 않나. 그런데 선수 본인이 자신의 장기를 잘 보여주며 리듬을 찾은 것 같다”라고 박수를 보냈다.
끝으로 전희철 감독은 “오늘 끝날 줄 알고 LG 팬들이 많이 오신 것 같은데…우리가 2경기를 모두 이겼다”라고 가볍게 농담한 뒤 기자회견장을 떠났다.
13일 오후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SK와 LG의 2024~2025 KCC 프로농구챔피언결정 5차전. SK 전희철 감독이 3세트 후반 팀이 큰점수차로 리드하자 주먹을 불끈쥐고있다. 잠실학생체=정시종 기자 capa@edaily.co.kr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