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창원NC파크 전경.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최근 창원NC파크에서 발생한 외장 마감 자재 낙하 사고와 관련해 오는 4월 1일부터 창원NC파크에서 열릴 예정이던 NC-SSG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2025.3.31 [연합뉴스]
창원NC파크 재개장 여부를 둘러싼 일 처리 과정을 보면 전직 야구단 프런트 출신으로 씁쓸한 마음이 든다.
NC 다이노스 구단은 지난 8일 '울산 문수야구장을 대체 홈구장으로 사용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NC의 홈구장인 창원NC파크는 지난 3월 29일 경기 중 구조물(루버)이 떨어져 관중을 덮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상태가 가장 위독했던 관중 한 분이 사망하면서 이후 홈 경기 일정이 모두 정지됐다.
3월 30일부터 5월 7일까지 연기된 홈 경기만 16경기에 이른다. 사고의 원인이었던 야구장 내 루버를 모두 제거할 때만 하더라도 재개장이 눈앞에 다가온 듯 보였지만, 아니었다. 지난 2일 국토교통부 관계자가 참석한 안전조치 이행 점검 회의에서 재개장 일정이 무기한 연기된 것이다. 이후 NC는 대체 홈구장을 물색했고, 최종적으로 울산시의 손을 잡았다. 연간 회원, 야구장 옥외 광고, 매점 운영 등 홈 경기 파행 운영으로 피해가 눈덩이처럼 쌓여가는 상황에서 무기한 연기된 일정이 재개되길 가만히 앉아 기다릴 수 없는 노릇이었을 거다. 관련 피해를 최소화하고 원정 일정만 소화하며 악전고투 중인 선수단을 고려하면 대체 홈구장은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흥미로운 건 NC가 오는 16일부터 키움 히어로즈와의 홈 경기를 울산 문수야구장에서 치르겠다고 발표한 직후 창원시의 태도였다. 하루 뒤인 9일 창원시는 '오는 18일까지 재개장을 위한 시설물 정비를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기한 연기'를 천명한 국토교통부에서 재개장 여부는 시·공단·구단 등이 결정할 사항이라는 취지의 공문을 시에 보내면서 분위기가 묘하게 바뀌었다. NC가 울산시로 이동해 홈 경기를 치르면 가뜩이나 침체한 지역 상권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부랴부랴 '재개장 가능'으로 방향을 선회한 모습이다. 관련 입장이 짧은 시간 내 바뀌니 구단으로서는 난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의 연속이다.
건축물 안전 점검 기관 관계자가 1일 오전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창원NC파크에서 시설물 안전 점검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2025.4.1 [연합뉴스]
NC는 창원시의 입장이 나온 뒤 감사의 입장을 전하면서도 '임시 홈 경기를 지원해 준 울산시에 대한 도리도 중요하다'며 오는 16일부터 예정대로 대체 홈 경기를 치르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NC는 현대 유니콘스 이후 처음이자 역대 두 번째 임시 홈 경기를 소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현대는 2000년 1월, 인천시에서 서울시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수원구장을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2001년 하반기 이후 서울시로 이전한다는 계획이었으나, 그룹의 재정 악화로 계속 수원시에 머물다가 2007시즌을 마친 뒤 해체됐다.
NC로선 쉽지 않은 선택임은 분명하다. 울산 문수야구장은 롯데 자이언츠의 제2 구장. 창원시와의 거리도 가깝지 않아 선수단으로선 사실상 원정 경기를 하는 거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는 팬들도 마찬가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오죽하면 대체 홈구장을 구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필자는 대체 홈구장 관련 분위기가 하루이틀 만에 급반전하는 걸 보면서 NC의 말 못 할 고충을 느낄 수 있었다. 창원시의 발표대로라면 어쨌든 창원NC파크 재개장은 수일 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왜 입장을 바꾼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