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에인절스 마이크 트라웃. 사진=게티이미지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를 대표하는 강타자 마이크 트라웃(33·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이 13년 만에 우익수로 출전했다.
트라웃은 25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템피 디아블로 스타디움에서 열린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시범경기에 1번 타자 우익수로 선발 출전해 1타수 무안타 1볼넷 1득점을 기록했다.
시범경기이지만 트라웃이 우익수로 경기에 나선 건 무려 13년 만이다. 2011년 빅리그에 데뷔한 트라웃의 지난해까지 우익수 수비는 통산 121이닝 소화가 전부였다. 앤서니 렌던(왼쪽)과 마이크 트라웃. 사진=게티이미지 최근 12시즌 동안 동안 중견수로만 출전했던 트라웃이 우익수로 포지션을 옮긴 건 부상 탓이다. 트라웃은 최근 4년 동안 잦은 부상 속에 전체 일정의 41%인 266경기 출장에 그친다. 이에 에인절스 수뇌부는 트라웃의 수비 부담과 부상 위험성을 줄이고자 그의 포지션을 우익수로 변경했다. 트라웃은 "언젠가는 이런 일이 생길 줄 알았다"며 "그냥 경기를 뛸 수만 있으면 좋다"라고 말했다. 에인절스는 통산 세 차례나 아메리칸리그 최우수선수(MVP)로 뽑혔던 트라웃이 수비 부담을 덜면서 타격에서도 부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트라웃은 25일 시범경기에서 모처럼 우익수로 나섰으나, 타구를 처리하진 못했다. 4회 초 수비 시작과 동시에 교체될 때까지 그에게 하나의 타구도 향하지 않아서다. 타석에선 1회 선두타자로 나서 볼넷, 2회 두 번째 타석에선 삼진으로 물러났다. 18일 스프링캠프서 열린 기자회견 중 포지션 전환에 대해 밝히고 있는 LA 트라웃의 모습. 사진=에인절스 SNS 트라웃은 경기 후 "느낌은 괜찮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 말 왼쪽 무릎 부상 후 7개월 만에 실전 경기를 무사히 마쳤기 때문이다.
트라웃은 "(우측으로 날아오는) 어떤 공이든 잡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다만 (우중간 타구의 경우) 중견수가 우선권을 가진 점을 명심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트라웃은 MLB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12년 총 4억 2650만달러(약 6116억원)의 높은 몸값을 자랑한다. 빅리그 통산 1518경기에서 타율 0.299 378홈런 954타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