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R의 AI 데이터 센터 국내 설립 추진 보도자료. SFR 홈페이지 LG그룹 창업주의 손자인 브라이언 구(한국명 구본웅) 스톡 팜 로드(SFR) 투자그룹 공동 창립자가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SFR이 이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SFR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18일(현지시간) 최대 350억 달러(약 50조원)이 투자되는 3GW 규모의 AI 데이터 센터의 국내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 세계적으로 1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보유한 데이터 센터는 흔치 않다.
이 규모는 미국에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의 하나로 텍사스에 건설되는 데이터 센터의 약 세 배 큰 규모다.
1GW는 75∼10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 수준인데 그 규모의 3배라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SFR이라는 투자그룹이 주도하고 있다. 이 투자그룹의 공동 창립자는 LG 창업주 구태회의 손자인 구본웅과 런던 및 요르단에 기반을 둔 투자사 BADR 인베스트먼트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아민 바드르엘딘이다.
SFR은 “올해 초 착공에 들어가 2028년 완공을 목표로 AI 데이터센터 설립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또 전력 및 수자원 확보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해 전라남도와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도권이 아닌 전남 지역에 대규모 AI 데이터 센터 설립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데이터 센터 건설을 위한 공급망 부족 문제와 엔비디아의 AI 칩 공급난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가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며 이 프로젝트도 2028년 이후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SFR은 초기 투자금으로 10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장기적으로 최대 3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 프로젝트로 인해 1만명의 일자리 창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브라이언 구는 "현재 한국의 데이터 센터는 주로 국내 수요를 맞추고 있지만 한국은 세계 시장을 겨냥한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록(왼쪽) 전남지사와 스톡 팜 로드 공동설립자가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스톡 팜 로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