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 메이저리그(MLB)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LA 다저스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지난겨울 오타니 쇼헤이·야마모토 요시노부 등을 영입한 다저스는 파격에 가까운 '계약 조건'으로 세간을 놀라게 했다. 특히 10년 총액 7억 달러(9779억원) 대형 계약을 한 오타니가 총금액의 97%를 계약 기간 이후에 받는, 이른바 '지급유예(디퍼) 계약'을 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였다.
다저스의 전략은 현재진행형이다. 지난 1일(한국시간) 다저스 계약이 공식 발표된 투수 블레이크 스넬의 경우도 지급유예 조건이 포함됐다. 스넬은 5년, 총액 1억8200만 달러(2543억원) 중 6500만 달러(908억원·매체마다 상이함)를 계약 기간 이후에 받는다. 이에 앞서 다저스 잔류를 공식화한 내야수 토미 에드먼도 5년 총액 7400만 달러(1034억원) 중 일정 금액을 지급 유예할 예정. 기존 계약 선수 중 고액 연봉 선수들인 프레디 프리먼, 무키 베츠, 윌 스미스 등의 연봉도 일정 부분 계약 기간 이후에 지급된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서 다저스가 단기 성과에 지나치게 집착, 미래의 부채를 너무 키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달았다. 곱지 않은 시각을 의식했는지 다저스 구단은 2026년부터 매년 4400만 달러(615억원)를 예치해 그 이자를 활용, 향후 지급유예 잔여 연봉 지급에 활용할 거라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빅 마켓 구단들이 지급유예 전략을 안 쓸 이유가 없어지고 있다. 과거 지급유예는 당장 큰돈을 쓰기 어려운 중소 마켓 구단 정도만 가끔 활용하는 정도였으나, 다저스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다시 조명되고 있다. 새로운 전략으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이다.
과거엔 신시내티 레즈로 이적한 당대 최고 스타 켄 그리피 주니어, 뉴욕 메츠 유니폼을 입은 슬러거 바비 보니아의 계약이 지급유예였다. 지급유예는 구단 자금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대형 스타를 영입하는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다. 조건을 수락한 선수는 당장의 수익이 줄어들 수 있지만, 은퇴 후 일종의 '연금'이 생기게 된다. 지급유예를 선택한 선수들은 대부분 급전이 필요한 저연봉 선수들이 아니다. 그만큼 여유가 있다.
결국 지급유예를 통해 좋은 선수를 영입한 구단은 우승 가능성을 높일 수 있고, 우승을 원하는 다른 선수를 영입하는 데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 올겨울 다저스의 행보만 보더라도 쉽게 이해된다. 과거 뉴욕 양키스가 자유계약선수(FA) 시장 대어들을 싹쓸이하며 '악의 제국'이라 불린 시절이 있었다. 지급유예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 중인 다저스는 '돈 야구'라는 비난도 듣지만, 강팀의 이미지는 지켜나가고 있다. 과연 다저스의 대항마가 되기 위해 MLB 구단들이 어떤 전략과 전술을 들고나올지 흥미로운 볼거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