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최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민희진의 오른팔도, B씨를 성희롱 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B씨는 성희롱 및 사내 괴롭힘 등의 이유로 부대표 A씨를 신고했으나, 이 과정에서 민희진 대표가 부당 개입을 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B씨에 대해 “제가 원치 않은 술자리를 ‘어린 여성’ 담당자라는 이유로 참석을 요청해서 성적인 불쾌감을 느꼈다고 하는데 그런 표현을 쓴 적이 없다”면서 “B씨는 해당 ‘업무의 담당자’로서 행사 피드백과 중장기 계획, 파트너십에 대한 이야기 등 나눠야 하는 분명한 아젠다가 있었다”고 이야기했다.
B씨는 익명의 SNS계정을 만들어 민 대표 및 A씨에 대한 폭로를 이어가고있다. 지난 17일에는 “임원 A씨가 금일 새벽 2천 자 장문의 카톡을 통해 본인의 사과가 악용된다고 항의하며 광범위한 인정과 사과를 취소했다”며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캡처해 올렸다. 구체적인 내용은 모자이크됐다.
그러면서 “이번 작장내 괴롭힘 신고에 대해 A씨가 ‘이거야말로 괴롭힘이고 너무 심하다’라고 하셔서 제가 가해자인가 헷갈렸지만 사과를 취소하셨으니 저도 필요한 대응을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경고했다.
A씨 역시 B씨에 대한 고소를 생각 중임을 밝혔다. 그는 “하루아침에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 ‘성희롱 가해자’라는 딱지가 붙었다. B씨에게 정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래라저래라 하지 말고 원하시는 조치 하세요’라고 하더라”면서 “B씨에 대한 대응은 당시 성희롱 신고가 거짓으로 판명됐고, 무고는 한 사람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정말 심각한 범죄다. 피해자는 오히려 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어도어 퇴사자와 부대표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민 대표 역시 △양측의 의견을 균형 있게 청취했고 △갈등을 조율하려 애썼으며 △주의와 경고를 통해 향후 비슷한 이슈가 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고 △HR 절차의 개선, 투명성 제고 등 보다 나은 제도 운용을 위한 제안을 하이브에 했다고 반박했다.
이후 민 대표는 본인의 SNS를 통해 A씨와 B씨가 나눈 대화를 올려 적극 해명에 나섰다. 민 대표는 “점점 더 본질과 멀어지는 괴상한 싸움으로 변질하는 것이 기이하다”라며 “도대체 무슨 권리로 이런 악행을 자행하는 것이냐”라고 반문했다. 그러나 B씨는 갈등을 조율하고 재발 방지에 힘썼다는 민 대표의 해명은 거짓이며, 자신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며 대립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