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시즌 4경기를 남겨둔 가운데, 현대건설(승점 73)과 흥국생명(승점 70)은 승점 3점 차로 맞물려 있다. 승수는 현대건설(24승)보다 흥국생명이 25승으로 더 많지만, 승점은 현대건설이 앞선다. 흥국생명은 풀세트 접전이 많았고, 현대건설은 3-1 혹은 셧아웃(3-0) 승리가 많았다.
현대건설은 5라운드에서 다소 주춤했다. 정관장에 덜미를 잡힌 현대건설은 흥국생명과 맞대결에서 셧아웃 패배를 당하며 선두 추격을 허용했다. 이후 한국도로공사, IBK기업은행 하위권 팀에 3-2 풀세트 진땀승을 거두며 두 경기에서 승점 4를 얻는 데 그쳤다. 달아나야 할 때 달아나지 못했다.
그 사이 흥국생명은 차근차근 추격했다. 5라운드 6전 전승을 달리며 현대건설과 격차를 좁혔다. 현대건설이 2일 정관장전에서 세트 스코어 2-3으로 패하면서 역전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현대건설은 아시안쿼터 선수 위파위 시통(등록명 위파위)의 부상 여파가 크다. 위파위가 어깨 통증으로 5라운드 흥국생명전부터 3경기 연속 결장한 사이 현대건설은 주춤했다. 위파위가 2일 정관장전에 복귀했지만 정상 컨디션은 아니었다.
반면, 외국인 선수 옐레나 므라제노비치의 부진으로 주춤했던 흥국생명은 새 외국인 윌로우 존슨(등록명 윌로우)의 합류로 반등에 성공했다. 외국인 선수의 활약이 시즌 막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두 팀 모두 우승이 간절하다. 현대건설은 2019~20시즌과 2021~22시즌 압도적인 전력으로 정규리그 1위를 달렸지만, 코로나19로 리그가 조기 종료되면서 우승 타이틀을 얻지 못했다. 현대건설의 우승 역사는 2015~16시즌에 멈춰있다.
흥국생명은 2018~19시즌 이후 통합우승이 없다. 김연경이 돌아온 후 2022~23시즌 정규리그에서 우승했지만, 챔피언결정전에서 한국도로공사에 역스윕을 당하며 통합우승에 실패했다. 시즌 후 은퇴를 고민하던 김연경은 우승 도전을 위해 흥국생명과 1년 재계약을 맺고 이번 시즌을 뛰고 있다.
두 팀은 12일 운명의 맞대결을 치른다. 이전까지 승수를 쌓는 게 중요하다. 현대건설은 한국도로공사(6일), IBK기업은행(9일)과 맞붙고, 흥국생명도 기업은행(5일), 페퍼저축은행(8일)을 차례로 만난다. 선두 경쟁 중에 나란히 하위권 팀을 상대하는 만큼, 승점 3점씩을 무조건 적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