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의 등장과 동시에 LG그룹에 밀렸던 SK그룹이 2년 만에 시가총액 2위를 탈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한국거래소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지난 19일 SK그룹이 시총 171조원으로 LG그룹(167조원)을 제치고 다시 2위에 올랐다.
LG그룹의 이차전지 계열사 LG엔솔은 지난 2022년 1월 상장 당시 시총이 118조원 이상으로 평가받으며 단일 종목으로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적인 전기차 전환 추세에 시장의 기대감을 한몸에 받았다.
작년 1월 초에는 LG그룹이 시총 204조원, SK그룹은 124조원으로 격차가 벌어졌다. 반도체 한파로 SK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SK하이닉스의 실적이 고꾸라진 탓도 있다.
두 그룹의 시총 격차는 이달 들어 급속도로 좁혀졌다.
지난 2일 기준 LG그룹의 시총은 190조원으로 200조원을 밑돈 데 반해 SK그룹은 179조원을 기록하며 추격을 이어갔다. LG엔솔이 상장한 2년 전과 비교하면 LG그룹 시총은 40조원가량 줄었지만 SK그룹은 당시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다 19일 SK그룹이 LG그룹을 따돌리고 2위로 복귀했다. 이번 주 첫 거래일인 22일에는 SK그룹이 172조원, LG그룹이 163조원으로 격차가 벌어졌다.
전기차 수요가 예전 같지 않고, 가전·TV(LG전자) 판매가 저조한 상황이 LG그룹 시총에 악영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바닥을 찍은 반도체 업황이 생성형 AI 확산에 고부가 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턴어라운드(실적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SK하이닉스 주가가 우상향 곡선을 그리는 것이 SK그룹에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LG엔솔 상장 2년이 지난 지금 시총이 초기보다 떨어지고 있는 반면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는 상승세를 보인다"며 "이는 최근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업종 간 온도 차이를 보여주는 단면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