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는 타인을 먹이기 위해 요리를 하는 사람입니다. 타인을 위해 조리한 음식은 자신이 함께 먹지 않는 것이 요리사 세계의 관습입니다. 정치인은 자신이 더 먹을려고 정치를 합니다. 정치인은 요리사한테서 배워야 합니다.”
정치인을 만나 밥을 먹을 때이면 간혹 이런 말을 합니다. 앞에 앉은 정치인이 시큰둥하면 더 이상 말을 전개하지 않습니다. 뭔 말인가 하고 귀를 세우는 정치인이면 신이 나서 저의 얕은 인문학적 상상력을 총동원하여 썰을 풉니다.
1만 년 전 농경의 시작이 곧 인간 문명의 시작입니다. 인간은 수렵과 채집을 하며 살았던 기간이 훨씬 길었고, 그 오랜 기간에 몸에 새긴 행동, 관습, 정신은 문명 시대에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100명 정도의 부족 단위로 수렵과 채집을 하며 살았습니다. 인간은 ‘사냥을 하도록 진화한 동물’은 아닙니다. 손톱과 이빨을 보십시오. 이것으로는 짐승의 머리를 치거나 목을 물어 절명시킬 수가 없습니다. 빨리 달리지도 못하고 순발력도 좋지 못합니다. 후각, 시각, 청각도 여느 육식 동물에 비해 민감하지 못합니다. 단독의 사냥꾼으로서는 빵점짜리 동물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집단으로 사냥을 합니다.
사냥에 나서는 인간 집단을 상상해봅시다. 온갖 의견이 난무할 것입니다. 저 산으로 가자, 이 산이 좋겠다, 꿩을 잡자, 멧돼지 잡기 더 쉽다, 두 팀으로 하자, 세 팀이 낫다. 이때에 필요한 것이 부족장입니다. 부족원의 여러 의견을 듣고 하나의 의지로 통합하여 자신의 통제에 따라 목적한 바를 실현하는 자가 부족장입니다. 부족장의 역할이 문명 시대의 정치인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 시절의 부족장은 정치 말고도 할 일이 많았습니다. 사냥을 나서기 전에 부족원의 의견만이 아니라 ‘알지 못하는 그 어떤 힘’의 뜻도 물어야 합니다. 탈없이 짐승을 사냥할 수 있도록 빕니다. 사냥에 성공하고 나서도 부족장은 ‘알지 못하는 그 어떤 힘’ 앞에 나서서 의식을 치러야 합니다. 사냥물을 허락해준 것에 대한 감사와, 같은 사냥물을 지속적으로 얻고 싶다는 염원을 담아 사냥물의 피와 살점으로 ‘알지 못하는 그 어떤 힘’에 고시레를 합니다. 부족장은 제사장이기도 합니다.
제사를 치르고 나면 사냥물을 나누어야 합니다. 멧돼지를 잡았다고 칩시다. 다리 넷에 몸통과 머리 각각 하나, 그리고 내장이 눈앞에 놓여 있습니다. 골고루 나눈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부족장은 모두가 불만 없이 넉넉하게 먹을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부족장이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사냥에 공을 세운 순서대로 고기를 가져가게 하겠습니까, 아니면 사냥에 참여하지 않았다 해도 먹을거리가 꼭 필요한 순서대로 고기를 가져가게 하겠습니까. 그 어떤 방식의 분배이든 불만을 가지는 자가 나타날 것입니다.
오래도록 부족 단위의 생활을 하고 있는 집단에 대한 보고서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 사냥물을 나누는 방식에 이런 규칙이 있었습니다. “부족장이 칼을 들고 사냥물을 분해하여 부족원이 가져갈 수 있게끔 진열을 한다. 부족장은 부족원이 자신의 몫으로 가지고 간 나머지를 가진다.” 자신이 타인을 위해 요리한 음식을 먹지 않는 요리사 세계의 전통은 수십만 년 전해 내려오는 부족장의 전통일 수도 있습니다.
농경이 발달하면서 도시가 커지고, 더불어 인간 조직이 복잡해졌습니다. 부족장 하나에 정치와 종교, 요리를 다 맡길 수 없게 되었습니다. 정치와 종교의 분리를 두고 ‘정교분리’라 하여 역사에서 배웁니다. 권력화한 정치와 종교는 인간 집단을 통제하며 그 권력으로 자신에게만 모든 영예가 있는 듯이 포장을 합니다. 요리는 권력화하지 못했습니다. 요리는 주방 안에 가두어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자신이 요리한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부족장의 위대한 전통을 가장 잘 이어오고 있는 것은 요리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사냥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자기 몫의 사냥물을 내놓으라고 아귀다툼을 하는 정치인으로 대한민국이 소란합니다. 자신의 욕망을 제일 뒤에 두는 부족장까지는 바라지 않습니다. 같잖은 정치로 국민의 밥그릇이나 깨지 말았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