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인이 파리 생제르맹(PSG)의 2024년 첫 골을 터뜨렸다. 이는 PSG의 올 시즌 첫 대회 트로피로 이어졌다. 선제 결승 골을 터뜨린 이강인은 경기 최우수선수(MOM)로 꼽히며 화려한 출발을 알렸다.
PSG는 4일 오전(한국시간)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툴루즈와의 2023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 2-0으로 이기며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트로페 데 샹피옹은 지난 시즌 리그1 우승팀(PSG)과, 쿠프 드 프랑스(FA컵) 우승 팀이 격돌하는 대회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의 커뮤니티 실드, 스페인 라리가의 수페르 데 코파와 같이 슈퍼컵격에 해당하는 셈이다. PSG는 툴루즈를 꺾고 이 대회 통산 12번째 우승 위업을 이뤘다. 17번째 참가 중, 12번이나 우승을 차지한 PSG는 이 부문 2위 올림피크 리옹(8회)과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이날 선발 출전한 이강인은 전반 3분 만에 그라운드 안에서 가장 빛났다. 그는 우스만 뎀벨레의 크로스를 왼발로 가볍게 밀어 넣어 툴루즈의 골망을 흔들었다. 비티냐의 전환 패스, 뎀벨레의 침투에 이은 이강인의 마무리가 돋보인 장면이었다. 이는 이강인의 올 시즌 3호 득점이기도 했다. 이강인은 지난해 10월 AC 밀란(이탈리아)과의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조별리그 경기에서 데뷔 골을 넣었고, 11월 몽페리에전에서 리그1 데뷔 골을 넣은 바 있다. 리그와 UCL에서 1개 도움씩을 추가해 공식전 기록은 16경기 3골 2도움. 출전 시간은 1095분으로, 경기 당 약 68분에 달한다. 사실상 주전 입지를 잡은 모양새다.
이강인은 선제골 후로도 존재감을 뽐냈다. 특히 35분엔 박스 안에서 가슴 트래핑에 이은 바이시클킥을 시도했다. 공기 골키퍼 정면으로 향했지만, 과감한 선택과 기술력이 돋보였다. 이후에도 경기장 왼쪽을 누빈 이강인은 절묘한 원터치 패스는 물론, 드리블 능력을 뽐내며 경기를 지배했다. PSG는 전반 막바지 음바페가 추가 골을 넣었고, 이 리드를 마지막까지 지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축구 통계 매체 소파스코어에 따르면 이강인은 이날 90분 동안 패스 성공률 96%(48회 성공·50회 시도)·롱 패스 2회·키 패스 1회·유효 슈팅 2회·드리블 성공 2회(100% 성공)·지상 볼 경합 승리 4회·태클 2회·인터셉트 2회 등을 기록했다. 공수 어느 부분에서도 모자람 없는 성적을 남긴 셈이다. 매체 역시 이강인에게 팀 내에서 세 번째로 높은 평점인 8.0점을 줬다. 이는 선제골을 합작한 뎀벨레와 같은 점수다. 최고 평점은 측면에서 맹활약을 펼친 아치라프 하키미의 8.8점, 이어 선방 6개를 기록한 잔루이지 돈나룸마가 8.5점을 받았다.
또 다른 통계 매체 폿몹에선 이강인에게 8.3점을 줬다. 이는 팀 내에서 4번째로 높은 평점이었고, 미드필더 중엔 가장 높았다.
다만 현지 매체 르 파리지엥의 평가는 다소 의아했다. 매체는 이강인에게 6.5점을 줬다.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건 하키미로 7.5점이었다. 두 번째 득점을 올린 음바페, 중간에 교체된 브래들리 바르콜라가 7점이었다. 이강인은 뎀벨레, 돈나룸마와 같은 평점을 받았다. 경기 최우수 선수로 꼽혔는데, 팀 내 세 번째에 그친 것이다. 해당 매체는 과거 이강인에게 최저 평점인 3점을 준 일화가 있다. 이번에도 ‘혹평’이 이어진 모양새다.
유력지 레퀴프는 7점이라는 무난한 평점을 줬다. 이는 뎀벨레·음바페와 같다. 최고 평점은 하키미와 돈나룸마의 8점이었다.
하지만 대회 선정 MVP는 이강인이었다. 선제 결승 골을 넣은 그의 활약을 인정한 모양새다. PSG 입성 후 첫 번째 트로피의 주역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이강인은 당당히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기쁨을 드러냈다.
이강인은 경기 뒤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우승을 차지하려는 야망을 갖고 있었다. 나는 팀을 돕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선수들과 함께하는 건 많은 도움이 된다. 이들로부터 배우려고 노력하고 있따. 이 팀에 있게 돼 매우 행복하다”라고 웃었다.
한편 경기 뒤 주장 마르퀴뇨스는 “새해를 우승과 함께 시작하는 건 최고의 방법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주고, 많은 동기부여를 준다”라고 반겼다. 이어 “우리에겐 많은 동기부여가 있었다. 팬들도 매우 행복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PSG 부임 후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 올린 루이스 엔리케 PSG 감독은 “지난 시즌 우승을 차지한 크리스토퍼 갈티에 감독의 업적을 기억하고 감사해야 한다. 이 트로피를 거머쥘 수 있던 건 그 덕분이다. 이 트로피가 마지막이 되지 않길 바란다”라고 공을 돌렸다.
팀의 두 번째 골을 터뜨린 음바페는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엔리케 감독은 명확한 아이디어는 물론, 많은 아이디어를 갖고 있다. 여러 가지 흥미로운 것들을 보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더 체계적이며, 공격적인 전술이 있다”라고 반겼다.
이는 지난달 불만을 드러낸 음바페가 언론을 의식한 듯한 답변이기도 하다. 음바페는 지난달 도르트문트(독일)와의 2023~24시즌 UCL 조별리그 6차전에서 무승부를 거둔 뒤 현지 매체를 통해 불만을 드러냈다. 당시 PSG가 이겼다면 조 1위로 오를 수 있었으나, 무승부를 거둔 탓에 2위에 머물렀다. 특히 경기 막바지엔 공격 대신 공을 끄는 장면이 이어졌고, 이에 음바페가 버스로 돌아가 크게 불만을 드러냈다는 사실이 현지 매체를 통해 보도된 바 있다. 당시 매체들은 “음바페가 엔리케 감독의 전술에 불만을 드러냈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음바페의 포지션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었다. 명확한 지침 없이, 왼쪽과 중앙을 오가는 음바페 탓에 팀 동선이 꼬인 탓이다. 다만 당시 엔리케 감독은 “음바페는 어느 포지션에서든 뛸 자격이 있다”라고 말을 아꼈다.
한편 이강인의 선제골을 도운 뎀벨레는 “프랑스에서 첫 번째 트로피를 들어 올릴 수 있어 행복하다. 우리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슈퍼컵 일정을 마친 이강인의 다음 행선지는 아랍에미리트(UAE)다. 그는 지난달 28일 발표된 국가대표팀에 포함됐다. 위르겐 클린스만(독일)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카타르 아시안컵을 위한 닻을 올렸다. 대표팀은 이미 UAE 아부다비에 캠프를 차리고, 최종 전지 훈련을 소화 중이다. 손흥민(토트넘)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황희찬(울버햄프턴) 등 해외파들도 모두 합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강인은 슈퍼컵 일정으로 인해 가장 늦게 합류한다. 팀의 우승을 이끈 절호의 경기력을 이어갈 수 있을지 시선이 모인다. 동시에 EPL에서 맹활약한 손흥민, 황희찬과의 호흡에도 시선이 모인다. 손흥민과 황희찬 역시 소집 전 박싱데이 일정에서 연이어 공격 포인트를 올리는 등 절호의 컨디션을 입증한 바 있다.
클린스만호는 오는 6일 이라크과 평가전을 펼친 뒤, 10일 결전지인 카타르에 입성한다. 아시안컵 조별리그 E조에 속한 한국은 15일 바레인·20일 요르단·25일 말레이시아(이상 오후 8시30분 경기)와 차례로 격돌한다.
김우중 기자 ujkim50@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