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3사가 일제히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거뒀다. 농심은 물론 삼양식품과 오뚜기 역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업체들은 마냥 웃지만은 못하고 있다. 정부가 물가 안정에 방점을 찍고 있는 가운데 밀 가격 하락을 이유로 또다시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어서다.
지난달 30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9% 증가한 55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8559억원으로 5.3% 늘었고 순이익은 76.9% 증가한 500억원이다.
농심 관계자는 "미국, 중국 등 해외법인의 영업이익이 약 200억원이고 국내 법인의 수출이익을 합산하면 3분기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해외 사업에서 거둔 셈"이라고 말했다.
삼양식품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도 434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24.7% 늘었다. 3분기 매출은 3352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전체 매출의 약 72%인 2398억원은 해외 사업을 통해 올렸다. 분기 기준 해외사업 매출이 2000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양식품의 1∼3분기 매출은 8662억원으로 '올해 매출 1조원'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진라면 등을 생산하는 오뚜기 역시 3분기 영업이익이 83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87.6% 증가했고, 매출은 9087억원으로 10.6% 늘었다.
업계는 K콘텐츠 확산에 따라 한국 라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당분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3분기 라면 수출액은 6억9731만 달러(약 8995억원)로, 작년 동기(5억6814만달러)보다 22.7% 증가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다만 이 같은 호실적과 핑크빛 전망에도 불구하고 라면 제조사들은 맘 편히 웃지 못하고 있다.
당장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제품 가격을 더 내릴 여지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지난 7월 정부는 라면 업계에 국제 밀 가격 하락 등의 이유를 들어 제품가 인하를 압박했고, 이를 이기지 못한 기업들은 일부 제품 가격을 소폭 인하한 바 있다.
당시 농심은 신라면 가격을 50원 내렸고, 오뚜기는 라면 매출의 30%가량을 차지하는 진라면을 제외한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했다. 삼양식품은 라면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불닭볶음면을 제외한 12개 제품 가격을 평균 4.7% 낮췄다.
이를 두고 업계 안팎에서는 앞서 일부 라면 제품가를 낮춘 것이 '생색내기'에 불과했다며 라면 업계가 인기 제품과 더 다양한 제품으로까지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정부도 또다시 가격 인하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달 15일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이 농심을 방문한 데 이어 박수진 식량정책실장이 지난달 23일 삼양식품을 찾았다. 표면상 물가 안정 정책에 협조를 구한 것이지만, 실상은 가격 인하를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밀 국제가격 하락을 이유로 라면 가격 인하를 요청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A)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톤(t) 당 밀 국제가격은 216.18달러로 전년 동기(332.43달러) 대비 34.9% 하락했다. 다만 제분용 밀 수입 가격은 지난달 기준 t 당 324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8.6% 내렸으나 평년보다는 3.8% 올랐다.
정부의 압박에 라면 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3분기 영업이익 증가의 상당 부분이 해외 매출에서 발생했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저조했던 전년도 실적의 기저효과일 뿐"이라며 "밀 등 원재료 가격이 들쑥날쑥할 때마다 가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해외에서 좋은 실적을 거뒀다고 해서 국내 가격을 낮추라는 건 맞지 않는다"며 "정부가 제조사의 어려움도 고려하면서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가격 인상을 억제하는 데 동참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