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는 불가피하다. 관건은 징계 대상, 그리고 수위다. 워낙 논란이 큰 사안인 만큼 당사자들은 물론 축구계의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슈퍼매치라는 상징성이 있는 만큼, 폭행 사태의 수습을 두고 프로축구연맹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연맹은 28일 지난 주말 경기들에 대한 경기평가회의와 심판평가회의를 차례로 개최했다. 25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던 FC서울과 수원 삼성의 슈퍼매치 역시 대상이 됐다. 이 과정에서 당시 발생했던 불미스러운 사건들에 대한 상벌위원회 개최 여부도 논의됐다. 상벌위가 열리면 이번주 안에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문제가 된 장면은 서울이 0-1로 뒤지던 후반 추가시간에 나왔다. 전진우(수원)의 파울로 넘어진 기성용(서울)이 전진우를 뒤에서 거칠게 밀어 넘어뜨린 게 시작이었다.
전진우가 고통을 호소하는 사이 수원 선수들이 기성용에게 다가가 거칠게 항의했고, 이에 질세라 서울 선수들도 맞서면서 양팀 선수들이 뒤엉켰다. 서울 벤치 앞쪽이다 보니 벤치에 앉아 있던 서울 선수들과 코치진도 가세했고, 수원 벤치에서도 선수들과 코치진이 대거 그라운드로 향했다. 축구에선 쉽게 보기 어려운 ‘벤치 클리어링’이었다.
문제는 단순한 신경전 이상의 폭행으로까지 번졌다는 점이다. 당시 모습은 고스란히 중계화면 등을 통해 전해졌고, 현장의 관중이 직접 찍은 영상들도 커뮤니티 등을 통해 잇따라 공개되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번졌다.
특히 고승범(수원)의 얼굴을 가격하거나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잡아채는 서울 코치와 선수의 모습이 공개돼 논란이 일었다. 반대로 앞선 장면에선 고승범이 팔로세비치(서울)의 목 부위를 가격하거나, 들고 있던 공을 뒤에서 손으로 쳐낸 이상민(수원)의 목을 팔로세비치가 밀치는 모습 등도 뒤늦게 공개됐다.
아수라장으로 변한 사태가 가까스로 정리가 된 뒤 주심은 우선 VAR 판독을 거쳐 정훈기 서울 피지컬 코치에게 레드카드를 꺼내 들었다. 공식 기록지에 적힌 퇴장 사유는 ‘난폭한 행위’였다. 앞서 전진우를 거칠게 밀어 사건의 빌미를 제공한 기성용도 옐로카드를 받았다. 다만 사안이 워낙 심각한 데다 다른 선수들의 폭력적인 행동들도 확인된 만큼 추가 징계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단순한 신경전 이상의 폭행으로까지 번졌다는 점이다. 당시 모습은 고스란히 중계화면 등을 통해 전해졌고, 현장의 관중이 직접 찍은 영상들도 커뮤니티 등을 통해 잇따라 공개되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번졌다.
특히 고승범(수원)의 얼굴을 가격하거나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잡아채는 서울 코치와 선수의 모습이 공개돼 논란이 일었다. 반대로 앞선 장면에선 고승범이 팔로세비치(서울)의 목 부위를 가격하거나, 들고 있던 공을 뒤에서 손으로 쳐낸 이상민(수원)의 목을 팔로세비치가 밀치는 모습 등도 뒤늦게 공개됐다.
아수라장으로 변한 사태가 가까스로 정리가 된 뒤 주심은 우선 VAR 판독을 거쳐 정훈기 서울 피지컬 코치에게 레드카드를 꺼내 들었다. 공식 기록지에 적힌 퇴장 사유는 ‘난폭한 행위’였다. 앞서 전진우를 거칠게 밀어 사건의 빌미를 제공한 기성용도 옐로카드를 받았다. 다만 사안이 워낙 심각한 데다 다른 선수들의 폭력적인 행동들도 확인된 만큼 추가 징계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관건은 상벌위에 회부되는 대상이 어디까지인지 기준이다. 중계화면에 노출된 폭행 당사자만 부를 것인지, 현장 증언에 따라 폭행을 한 것으로 목격된 모든 선수와 코칭스태프를 회부할지 애매하다.
경중은 다를지언정 폭력적인 행위 자체가 여러 선수들 간에 발생한 만큼, 연맹이 상벌위에 회부되는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또 다른 논란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상벌위에 회부된 이들이 어떤 수위의 징계를 받는지도 두 구단 모두에 민감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폭력 행위에 대한 연맹 상벌 규정에 따르면 폭행 또는 폭행 치상 행위 시 감독 및 코칭스태프는 5경기 이상 10경기 이하의 출장정지나 500만원 이상의 제재금, 선수는 2경기 이상 10경기 이하의 출장정지나 500만원 이상의 제재금을 부과하도록 돼 있다.
연맹은 28일 우선 정훈기 코치, 그리고 고승범의 머리채를 잡아챈 것으로 확인된 고요한의 상벌위 회부를 결정했다. 추가로 상벌위에 회부할 선수가 있는지는 검토 중이다. 앞으로 누가, 어느 수준의 징계를 받느냐에 따라 자칫 불공정 논란으로까지 번질 수도 있다. 슈퍼매치 후폭풍이 잦아드느냐, 아니면 더욱 거세지느냐. 연맹의 판단에 축구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