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생 프로레슬러 김남훈은 지천명(知天命)을 바라보고 있다. 2001년 과천경마장에서 열린 프로레슬링 대회에서 데뷔한 뒤 23년째 사각의 링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사실 김남훈은 다양한 직업을 갖고 있다. 일단 책을 10권 이상 낸 유명 작가다. 오래전부터 여러 매체에 자신의 이름을 건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지상파 라디오 DJ를 맡기도 했다. 현재는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다. 기업과 학교, 공공기관을 상대로 강연도 활발하게 한다. 미국 종합격투기 UFC나 프로레슬링 WWE 같은 격투스포츠 해설도 오랫동안 하고 있다. 그가 해왔던 일을 나열하지만, 손가락 열 개로 한참 모자란다.
김남훈은 직업이 여러 개지만 그의 정체성은 프로레슬러다. 본인 제공
그런데 김남훈을 대표하는 직업은 프로레슬러다. 우리말 사전에 정의된 직업의 의미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종사하는 일’이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프로레슬러는 직업으로서 자격이 없다. 이걸로 먹고 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한국에서 프로레슬링은 힘 빠진 지 오래다. 과거 김일, 이왕표로 이어졌던 전성시대는 옛 추억일 뿐이다. 지금은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간신히 명맥을 이어가는 수준이다.
김남훈의 프로레슬링 경력은 몰락이 한창 진행 중이었던 한국 프로레슬링과 겹친다. 어릴 적 AFKN 등을 통해 봤던 미국 프로레슬링에 매료돼 꿈을 갖게 됐다. 대학 졸업 후 사회생활을 하던 시절 무작정 프로레슬링 도장에 들어간 게 20년을 훌쩍 넘겼다. 멀쩡한 일을 안 하고 프로레슬링을 한다며 무시도 참 많이 당했다.
사실 몇 번 프로레슬링을 그만두려고 했다. 먹고 살아야 했기 때문이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다 보니 다른 일에 더 신경 쓸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도대체 이게 뭔지. 마치 마약처럼 프로레슬링을 끊을 수 없었다. 잠시 정신을 내려놓으니 어느덧 링 위에 서 있었다. 경기복을 입고 상대와 몸을 부딪치고 있었다. 악역 레슬러답게 철제 의자 같은 반칙 무기도 늘 그 옆에 있었다.
김남훈은 얼마전 일본에서 3대3 경기를 치렀다. 규슈 프로레슬링
김남훈은 얼마 전 일본 원정경기를 치렀다. 규슈 지방을 기반으로 하는 ‘규슈 프로레슬링 창립 15주년 대회’에 참가했다. 후쿠오카 국제센터 대회장에 4000명이 넘는 관중이 몰렸다. 프로레슬링이 활성화된 일본에서도 큰 규모로 열린 대회였다.
김남훈은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 출신 레슬러와 함께 팀을 이뤄 WWE 출신 타지리 등 일본 레슬러들과 3대3 경기를 치렀다. 외국에서 온 악역 역할을 톡톡히 했고, 마지막에 승리까지 따냈다. 이 경기는 김남훈이 무려 10년 만에 따낸 일본 원정경기 승리였다. 경기 후 라커룸에서 김남훈은 한참을 주저앉아 있었다. 눈물이 나오려는 것을 간신히 참았다.
프로레슬링은 각본이 있는 스포츠다. 경기를 시작하기 전 승패를 이미 알고 있다. 진다는 것을 이미 알면서도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는다. 상대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기꺼이 망가지는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그래서 프로레슬링이 더 매력적이고 특별하다. 김남훈도 자신이 이길 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속에서 끓어오르는 감정은 어쩔 수 없었다.
김남훈에게 프로레슬링이 어떤 의미인지 물었다. 그는 인생의 최후 방어선이라고 했다. 주위의 모든 것이 다 흔들릴 때 자신을 지탱해 줄 마지막 보루라는 것이다. 프로레슬링마저 못하게 되면 그때는 스스로 무너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단다.
그래서 김남훈은 최대한 오래 프로레슬링을 하려고 한다. 환갑 때도 링에 올라 젊은 선수들을 손봐주고 싶다고 했다. 그래서 오십 대를 바라보는 나이에 다양한 운동을 소화한다. 매일 복싱, 킥복싱, 가라테 훈련을 하면서 자신을 단련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사회인 복싱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20~30대보다 더 훈련량이 많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운동하다 보면 아들뻘 되는 동료에게 굴욕을 당할 때도 있다. 그래도 계속 버티니까 괜찮다고 한다. ‘버틴다’는 김남훈이라는 인물을 정의하는 중요한 키워드다. 김남훈은 “어떤 분야든 맷집이 중요하다. 일단 버티고 최후 방어선을 사수하면 언젠가 잠깐이라도 인정받는 날이 온다”고 믿는다. 마흔여덟 살의 그가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링에 여전히 오르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