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유토피아' 박보영. (사진=BH엔터테인먼트 제공)
“명화 같은 사람도 존재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명화가 정답은 아니겠지만 세상을 따뜻하게 바라보는 사람이 분명히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배우 박보영은 최근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개봉을 앞두고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했다. 명화는 박보영이 영화에서 연기한 캐릭터의 이름이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이 일어난 서울을 배경으로 무너지지 않고 살아남은 황궁 아파트의 주민들이 아파트로 몰려오는 외지인들과 마주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대지진이라는 극단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지만 위기 상황에 몰린 인간의 고민과 갈등, 이타심과 이기심을 섬세하게 묘사한다.
민성(박서준)과 부부인 명화는 이타심이 강한 인물이다. 다른 사람들의 처지에 공감하고 더불어 살 것을 희망한다. 가족을 그 어떤 기준보다 더 앞세우는 민성과 이 때문에 다소 갈등을 빚기도 한다.
“위기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변하기 쉽고 그건 민성 역시 마찬가지죠. 그런데 명화는 민성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알잖아요. 그래서 불안한 마음도 있었을 것 같아요. 민성이 어떤 점에 취약한지, 무엇이 민성을 무너지게 할 수 있을지를 잘 아니까요. 명화는 길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인물 같아요.” '콘크리트 유토피아' 박보영. (사진=BH엔터테인먼트 제공) 재난 상황에 닥친 인간들의 면면을 다룬 작품인 만큼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공감의 요소가 많다. 영화를 본 관객들이라면 보면서, 혹은 상영 후 극장에서 나와서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를 한 번쯤은 고민할 것이다.
박보영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그 선택은 명화 역을 맡기 전과 후가 달라졌다. 시나리오를 읽을 때는 ‘명화는 우리가 바라는 인간상일 것이고 그런 사람도 있어야겠지만, 과연 나라면 명화처럼 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했다면, 명화가 되고 난 후에는 ‘나도 명화같은 사람이 돼야겠다’고 마음을 굳혔다.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도 누군가는 신념을 지키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게 박보영의 생각이다.
“어떤 분이 써주신 리뷰에 그런 말이 있더라고요. ‘명화가 이 영화의 유일한 희망이자 숨 쉴 구멍이었다’고요. 그게 제 마음을 대변해주는 것 같아요. 저는 명화가 하는 선택들을 누구보다 응원해 주고 싶었어요.” '콘크리트 유토피아' 박보영. (사진=BH엔터테인먼트 제공) 선한 마음을 가졌지만, 또한 누군가 자신이 생각하기에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느끼면 한 마디를 하는 인물이 바로 명화다. 그런 강단 있는 명화를 표현하면서 어려움도 있었다. 특히 이병헌의 경우 대면하는 장면을 위해 미리 사진을 보면서 마음을 다졌을 정도로 긴장이 많이 되는 선배였다. 엄태화 감독은 긴장하는 박보영에게 “이병헌을 갈치라고 생각하라”는 조언을 해줬다고 한다.
“글쎄요, 왜 갈치라고 하셨을까요. 잘 모르겠는데 하여튼 제가 이병헌 선배를 조금 편하게 느꼈으면 하셨던 것 같아요. 그래서 선배가 연기한 영탁의 사진을 휴대전화 배경화면으로 해놓고 계속 보면서 마음을 다잡았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 테이크 들어갈 때는 무서워서 좀 졸게 되더라고요. (웃음)” '콘크리트 유토피아' 박보영. (사진=BH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렇게 많은 고민과 노력을 통해 탄생시킨만큼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박보영의 필모그래피에 매우 의미 있는 작품으로 자리할 전망이다. 선배의 사진을 휴대전화 배경으로 설정하고 보면서 연기를 연습한 노력, 박보영의 말에 따르면 “빈틈이 없다”는 이병헌을 보고 배운 경험. 박보영은 “내 연기를 보면 아쉬울 수밖에 없다”고 했지만, 또한 “모니터를 하는데 나의 낯선 얼굴을 찾았다”며 스스로를 칭찬하기도 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생각할 거리를 주는 영화예요. 영화를 본 뒤 토론을 하고 그런 시간을 갖는 걸 저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아하거든요. 관객들도 우리 영화를 보시고 그런 시간을 갖게 되신다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