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에 상장된 이커머스 기업 쿠팡(쿠팡Inc)이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는 연간 흑자를 기대할 만큼 순조로운 분위기다. 적자의 늪에 빠진 국내 이커머스 업계에서 상당히 이례적인 성과다. '쿠팡 미라클'에 긴장한 곳은 신세계그룹이다. 이커머스는 물론 한발 앞서 있던 유통 시장 점유율마저 빼앗길 처지다. 신세계그룹은 대대적인 멤버십 개편으로 쿠팡의 추격을 방어하겠다는 각오다.
쿠팡 매직
쿠팡이 1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 1분기 매출은 약 7조6915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외형만 번듯한 것이 아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416억원였고, 순이익도 1205억원으로 손실을 낸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쿠팡은 지난해 3분기 1027억원, 4분기 1159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으며, 올해 1분기까지 흑자를 내면서 사상 첫 연간 흑자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작년 연간 조정 에비타(EBITDA·감가상각 전 순이익)는 4925억원을 기록했다. 조정 에비타는 영업활동만으로 벌어들인 현금 흐름을 확인할 때 쓰인다. 지난해 연간 조정 에비타가 흑자를 기록하면서 이런 추세라면 올해 쿠팡의 흑자 전환은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쿠팡은 1분기 호실적의 배경으로 다양한 상품 제공과 오픈마켓 제품의 로켓배송 확대, 소비자 혜택을 축소하지 않고도 마진을 개선한 운영 효율화를 꼽았다. 쿠팡플레이·쿠팡이츠·해외사업·핀테크 등 신사업 매출은 198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7% 줄었다. 음식 배달 플랫폼 쿠팡이츠의 매출 감소 영향이 컸다.
거랍 아난드 쿠팡 CFO(최고재무책임자)는 "뛰어난 운영 역량에 힘입어 미래를 향해 나아갈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게 됐다"고 자평했다.
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면서 무섭게 달려가고 있다"며 "올해 소비가 위축된 환경에서 유통 시장의 점유율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긴장한 신세계
쿠팡의 질주에 가장 긴장한 기업은 신세계이다.
신세계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52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0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5634억원으로 11.5% 줄었고, 순이익은 1286억원으로 14.8%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까지 '8분기 연속 성장' 기록을 세웠으나, 소비 심리 위축의 벽을 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2년 신세계의 유통 부문 9개사 합산 매출은 30조4602억원으로 점유율은 5.1%였다. 작년 26조5917억원의 매출을 올린 쿠팡은 점유율이 4.4%로, 신세계 턱밑까지 쫓고 있다.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충성 고객 확보의 바로미터로 쓰이는 멤버십 부문에서도 쿠팡의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다. 쿠팡 유료 멤버십 '와우' 회원 수는 작년 1100만명을 기록했다. SSG닷컴 통합멤버십 '스마일클럽' 회원 수는 300만명 수준에 그친다. 현 상황이라면 쿠팡에 덜미를 잡힐 가능성이 크다.
신세계는 멤버십 개편에서 답을 찾는 모양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온라인 플랫폼인 SSG닷컴·G마켓·이마트·신세계백화점·스타벅스·G마켓 등 오프라인 핵심 계열사를 결합한 유료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을 다음 달 7일 론칭한다.
신세계 유니버스는 고객이 온·오프라인에서 벌이는 모든 일상이 신세계 안에서 해결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
쿠팡이 유료 멤버십 '와우'로 성장한 가운데, 온·오프라인 채널을 결합한 서비스로 맞불을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통합 멤버십 론칭으로 신세계는 정용진 부회장이 강조한 신세계 유니버스에 한 발 더 다가간다.
신세계는 지난해 4월 SSG닷컴과 G마켓을 결합한 '스마일클럽'을 통해 통합 멤버십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했다. G마켓의 기존 스마일클럽 회원 중 약 100만 명이 통합 멤버십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일반 고객에 비해 객단가(1인당 구매 금액)는 2.1배, 주문 건수는 2.8배 더 높았다는 설명이다.
쿠팡은 여유롭다. 김범석 쿠팡 창업자는 "거대한 유통 시장에서 쿠팡의 시장점유율은 한 자릿수로, 쿠팡의 여정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쿠팡의 강점은 배송과 간편 결제 등이고, 신세계는 쿠팡이 줄 수 없는 오프라인에서의 경험인 만큼 서로 경쟁력이 달라 유통 시장의 변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