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장기화로 전 세계 낸드플래시 매출이 감소했지만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되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글로벌 낸드 매출은 102억9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25% 감소했다. 낸드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급락했다.
업계 1위 삼성전자는 34억8000만 달러로 전 분기보다 19.1% 줄었다. 다만 시장점유율은 31.4%에서 33.8%로 2.4%포인트 상승했다.
2위 일본 키옥시아의 매출은 전 분기보다 30.5% 떨어진 19억6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점유율은 19.1%로 전 분기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SK하이닉스와 자회사 솔리다임의 매출은 전 분기보다 30.9% 감소한 17억5600만 달러를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시장점유율은 18.5%에서 17.1%로 하락했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는 원가 우위에 힘입어 고용량 제품을 지속해서 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D램 시장에서도 홀로 점유율을 키웠다.
삼성전자의 2022년 4분기 D램 매출은 55억4000만 달러로 전 분기보다 25.1% 감소했지만, 시장점유율은 40.7%에서 45.1%로 4.4%포인트 상승했다.
다른 D램 제조사들은 매출과 점유율이 모두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