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황무지 아니다, 고고학계 ‘왕훙’된 구이저우
온라인 일간스포츠 기자
구이저우 문물고고학연구소의 부소장이자 초과동(招果洞) 유적의 고고학 책임자인 장싱룽(張興龍)은 초과동(招果洞) 유적을 플래시백(Flashback) 기법으로 서술한 역사책에 비유하며 “20층 높이의 이 거대한 책은 두께가 약 8m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초과동은 후기 구석기부터 신석기 시대에 이르는 인류의 역사가 담겨있다”며 “인류는 돌은 두드려 도구를 만들었고, 뼈를 갈아 송곳을 만들었다. 모닥불을 피워 짐승들을 쫓아냈다. 이 모든 것이 초과동이라는 타임캡슐에 담겨 있다”고 덧붙였다.
루훙량(吕红亮)은 라오스, 스리랑카 및 기타 지역의 고고학 발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고고학 전문가다. 그가 보기에 구이저우의 선사시대 동굴 유적은 국제 문화 교류에 있어 ‘노다지’와 다름없다. 그는 “구이저우 동굴 유적들은 프랑스 남서부의 도르도뉴에 있는 선사시대 동굴 유적과 비교할 수 있을 정도”라며, “구이저우의 카르스트 지형은 많은 수의 동굴 유적지를 만들어냈고 이는 중국을 넘어 세계적으로도 뛰어나다”고 말한다.
고고학 발굴 및 연구는 유구한 역사책에 찍힌 하나의 좌표와 같다. 중국 문명의 기원과 업적을 알려주고, 중화 문명이 세계에 기여한 공헌을 보여준다. 저우 소장은 "역사가 남긴 명백한 유산을 통해 현재와 미래를 알리는 것은 문화적 자신감을 쌓기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할 과제일뿐 아니라 문화적 자각을 위해 반드시 답변할 문제”라고 본다.
저우 소장은 중국 관영 중앙TV(CCTV)의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교하고 아름다운 유물인 금양보 삼룡오봉관(金镶宝三龙五凤冠)을 선보인 바있다. 금봉관의 정교한 제작 기술과 장인 정신은 관중을 놀라게 했다. 이것이 구이저우성 쭌이 지역의 토사(土司, 중국 고대 소수민족 자치 지역의 관리) 양씨가 아내를 위해 특별히 제작한 장신구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시청자들은 “양씨도 유행을 선도한 패셔니스타”라며 “문물이 부(副)를 과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며 감탄했다. 저우 소장은 박물관에 소장된 문화 유물, 광활한 대지에 전시된 유산, 고서에 쓰인 글자들이 모두 살아나야 한다고 말한다.
2022년 11월에는 '중국 전통 차 제조 기술 및 관련 풍습'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됐다. 구이저우에서 발견된165만 년된 다자화석(茶籽化石)은 지구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세계 차 전문가들의 ‘차의 기원’ 논쟁을 잠재웠다. 구이저우는 지역 특산품인 차를 세계에 공유하며, 국제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구이저우의 차 수출량은 5937.9톤으로 수출량과 수출액 증가폭이 중국 내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구이저우는 중국에서 가장 먼저 매운 음식을 먹은 곳이다. 중국 고서 '사주부지(思州府志)'에는 ‘구이저우 현지의 먀오족이 현지의 소금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고추로 맛을 냈다’고 기록돼 있다. 구이저우 고추 특유의 풍미를 지닌 소스인 라오간마(老干妈)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 한국 등 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다.
중국 웹사이트를 열어 ‘구이저우 고고학’을 검색하면 3만 건 이상의 보고서와 기사가 나온다. 구이저우 고고학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과 열정은 구이저우의 고고학 명소를 인기 관광지로 만들었다. 오늘날 구이저우에는 역사의 메아리가 끊임없이 울려 퍼지고 있다.
온라인 일간스포츠
온라인 일간스포츠 기자 isplus@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