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애플페이 도입을 준비 중인 식당 키오스크에 관련 안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국내 간편결제 시장이 격변기를 맞고 있다. '애플페이'의 도입이 예고되면서 간편결제 이용자 3명 중 1명이 삼성페이는 물론, 기존 카드사와 페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들은 대응책 찾기에 나선 모습이다.
1일 시장 분석업체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국내 페이앱 이용자 수는 4206만명으로, 1년 만에 18%가 증가했다. 지난해 1월 이용자 수는 3568만명이었다.
삼성페이가 1630만명으로, 전체 간편결제 앱 이용자 수의 38.8%를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어 페이북이 706만명(16.8%)으로 2위, 신한플레이 666만명(15.8%), KB페이 658만명(15.7%), 카카오페이 259만명(6.2%) 순이었다.
금융업계는 삼성페이가 1위를 거머쥐고 있는 것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시장점유율 영향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해 1분기 판매 대수를 기준으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가 77%로 아이폰을 비롯한 다른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갤럭시에 삼성페이가 있듯, 아이폰에 애플페이가 적용되면 기존 다른 페이 서비스를 쓰던 아이폰 이용자들도 애플페이를 자연스럽게 쓰지 않겠느냐"고 우려했다.
미래 세대를 내다보면, 애플페이의 국내 상륙은 더욱 두렵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아이폰의 이용은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국내 18~29세 스마트폰 이용자 52%가 아이폰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 이용률은 44%였다.
게다가 최근 비누랩스 조사결과에서 갤럭시 이용자 10명 중 6명(54%)이 삼성 폰에서 가장 선호하는 기능으로 '페이'를 꼽았다. 또 갤럭시를 이용하고 있는 Z세대의 재구매 의향은 74%였는데, 애플페이 도입을 알리자 64%로 줄었다. 즉, 애플페이가 도입되면 삼성페이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삼성페이는 최근 네이버페이와 동맹을 구축하면서 애플페이 견제에 나섰다.
네이버페이 온라인 가맹점에서 삼성페이 결제가 가능해지고 오프라인 삼성페이 가맹점에서도 네이버페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윈윈’ 모델을 만들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국내 총 55만 개에 달하는 네이버페이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할 때 삼성페이도 선택지 중 하나로 추가된다. 또 QR코드를 통해 오프라인 결제를 했던 네이버페이 이용자들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를 갖다 대면 결제가 되는 삼성페이의 결제 방식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중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간편결제 시장에서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비중을, 삼성페이는 온라인 결제 비중을 늘리는 과제를 상당부분 해소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카드사들도 분주하다. 신한·KB국민·하나·롯데카드는 지난해 12월부터 '오픈페이' 서비스에 나섰고, BC카드는 3월, 우리카드는 6월 중에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NH농협카드는 하반기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오픈페이는 한 카드사 앱에서 다른 카드사의 카드를 연동해 쓸 수 있는 서비스다.
또 카카오페이는 이르면 이달에 중국 본토에서 카카오페이 결제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구축하는 등 해외결제 사업의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글로벌 결제망을 먼저 선점해 시장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카카오페이는 일본, 마카오, 싱가포르, 중국 일부 지역에 이어 프랑스 유명 백화점까지 결제를 지원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애플페이가 국내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국내 NFC 단말기 보급률이 저조하고, 단말기 값이 20만원대로 높다는 이유에서다. 수수료를 건당 부과하는 애플페이의 방식도 연 단위로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는 국내 결제 시장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단말기 보급률은 속도의 문제일 것"이라며 "결국 아이폰 이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늘면 어쩔 수 없이 도입하는 곳들이 많아질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단말기 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하나로 애플페이에 대한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