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북미에서 판매 중인 4K OLED TV.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10년 만에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를 국내에 내놓으면서 LG전자가 독식한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기존 OLED TV의 단점을 개선한 차별화 기술을 내세웠지만, 당장 시장 판도를 뒤엎기에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21일부터 내달 8일까지 TV 주력 제품인 '네오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TV'를 비롯해 OLED TV 신제품의 사전 판매에 돌입한다고 20일 밝혔다. 공식 출시일은 3월 9일이다.
삼성전자가 OLED TV를 선보인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이다. 55형 곡면 OLED TV를 출시했다가 수익성 문제로 생산을 중단하고, QLED와 같은 대형 LCD TV에 집중했다.
이미 회사는 지난해 3월 북미와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 OLED TV 판매를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핵심 라인업은 QLED TV라는 입장이다.
이처럼 OLED TV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지 못하는 데는 복잡한 사연이 있다.
지난 2019년 LG전자가 공정거래위원회에 삼성전자를 표시광고법 위반으로 신고하며 TV를 둘러싼 비방전이 펼쳐졌다.
당시 LG전자는 QLED TV는 백라이트가 필수인 LCD TV 구조인데도 마치 OLED TV처럼 스스로 빛을 낸다고 홍보해 소비자 혼란을 야기한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OLED TV의 약점인 '번인'(얼룩)을 지적하며 맞섰다.
이처럼 OLED TV의 대세화를 인정하지 않았던 삼성전자라 마케팅에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도 LG전자의 OLED TV보다 한 단계 진화한 제품은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LG OLED TV는 WOLED(화이트OLED) 패널을 쓴다. 삼성 OLED TV는 QD(양자점)-OLED 패널 기반이다.
다음 달 출시 예정인 'LG 올레드 에보' 신제품. LG전자 제공 삼성전자 관계자는 "WOLED는 적·녹·청(RGB) 소자를 수직으로 쌓아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청색 소자가 빨리 나가면 번인 현상이 나타난다"며 "QD-OLED는 여러 겹으로 쌓은 청색 소자에 양자점 발광층을 더한 구조라 어느 하나의 색이 사라질 염려가 없다"고 했다.
자체 발광으로 높은 수준의 밝기와 색상을 구현하면서도 화면 번짐과 같은 OLED 패널의 부작용은 대폭 해소했다는 의미다.
그간 소극적이었던 삼성전자도 관련 패널 수급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자 성장 가능성에 공감하고 OLED TV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올해 QD-OLED TV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141%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관건은 가격이다. 삼성전자는 OLED TV의 가격을 55형 309만원·65형 529만원·77형 799만원으로 책정했다. 경쟁사 LG전자는 2023년형 OLED TV를 다음 달부터 글로벌 국가에 순차 출시할 예정인데, 아직 가격을 확정하지 않았다.
세계 TV 판매 1위 삼성전자가 뛰어들었지만 당분간 글로벌 OLED TV 점유율 60%의 LG전자가 이 시장을 꽉 잡고 있을 전망이다. LG전자는 올해 OLED TV 출시 10주년을 맞이한 '명가'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후발주자인 삼성전자의 OLED TV 물량이 시장 점유율을 한 번에 역전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며 "OLED TV 시장에 플레이어가 늘어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