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기획재정부 청사 전경. 연합뉴스 기획재정부는 11일 공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1월호'에서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해 "대외요인 등으로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되고 경제 심리도 영향을 받는 가운데 수출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경기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6월 경기둔화 우려를 언급한 이후 6개월 연속으로 비슷한 진단을 내놓고 있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의 금리 인상 기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국 봉쇄조치 영향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세계 경제의 하방 위험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내수에 대해서는 "고용과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10월 소비자물가는 공공요금 인상, 가공식품 가격 상승세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5.7% 상승해 9월(5.6%)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수출은 1년 전보다 5.7% 감소한 524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23개월 연속 증가하다가 2년 만에 감소로 전환한 것이다. 11월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2.8% 감소한 177억500만달러다.
반면 소비와 고용 지표는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10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1년 전보다 10.1% 증가했다. 8월(18.4%), 9월(12.0%)보다 증가 폭은 다소 축소됐다. 백화점 매출액과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은 각각 7.0%와 5.5% 증가했고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도 55.9% 늘었다. 다만 할인점 매출액은 0.5% 감소했다. 10월 취업자는 2841만8000명으로 작년보다 67만7000명 늘었고,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1.3%포인트 올랐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