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어깨로 엄청난 송구를 자랑하는 야시엘 푸이그. 하지만 '커트맨'을 거치지 않는 송구가 상대에게 빈틈을 허용하는 빌미를 제공하곤 한다. 4일 열린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도 문제점이 나타났다. IS 포토 자신감은 때론 무모함으로 연결된다. 키움 히어로즈 야시엘 푸이그(32)의 송구가 딱 그렇다.
키움은 4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한국시리즈(KS·7전 4승제) 3차전을 2-8로 패했다. 시리즈 1차전에 승리한 뒤 2·3차전을 연거푸 패하며 1승 2패로 몰렸다. 1승 1패에서 3차전 승리 팀이 KS 우승을 차지한 건 역대 16차례(1993년 무승부 제외) 중 14번에 달한다. 확률이 무려 87.5%. 키움으로선 12.5%의 확률을 극복해야 한다.
7회까지 1-0으로 앞선 키움은 8회 초 2사 2루에서 후안 라가레스에게 역전 투런 홈런을 맞았다. 경기의 흐름을 좌우한 결정적 한 방이었지만 점수 차를 고려하면 만회할 기회가 없었던 건 아니다. 하지만 키움은 1-2로 뒤진 9회 초 6실점을 헌납, '빅이닝'을 헌납했다. 마무리 투수 김재웅이 선두타자 오태곤에게 중전 안타를 맞은 게 시발점이었다.
김성현의 희생번트 때 1루 주자를 2루에서 잡아내 1사 1루. 후속 김민식에게 우전 안타를 또 내줬다. 그런데 공을 잡은 우익수 푸이그가 커트맨을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 3루 송구를 선택했다. SSG는 빈틈을 파고들었다. 1루 주자 김성현이 3루까지 뛰었고 푸이그의 송구를 본 김민식이 2루까지 내달렸다. 1사 1·3루가 될 상황이 1사 2·3루로 이어졌고 추신수의 자동 고의4구로 만들어진 만루에서 키움은 무너졌다. 김재웅와 김태훈이 피안타 4개(김강민·최정·한유섬·박성한)로 6실점, 두들겨 맞았다. 결과론이지만 푸이그의 송구 하나가 키움 마운드에 더 큰 부담을 안긴 꼴이 됐다.
푸이그의 송구는 정규시즌 내내 문제로 지적됐다. 강한 어깨로 주자의 진루를 막을 수 있지만 무리한 다이렉트 송구는 상대에게 허점을 노출했다. 궤적이 낮지 않아 손에서 공이 빠지는 순간, 주자에게 너무 쉽게 간파당한다. 한 구단 관계자는 "외야수가 공을 던지면 주자 입장에선 탄도가 보인다. 센스 있는 선수들은 그걸 바로 캐치한다"며 "커트맨 위로 공이 넘어가면 한 베이스를 더 갈 수 있는 찬스니까 주자들이 적극적으로 뛴다"고 말했다.
홍원기 감독도 지난 8월 "계속해서 문제에 관해 얘길 한다. 다른 선수들도 그런 플레이를 자제하자고 하는데 계속 나오는 건 깊게 생각해야 한다. 반복된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그런 플레이 하나가 실점으로 연결되고 승패에 영향을 미친다는 건 선수가 가장 잘 알 거"라고 꼬집었다. 포스트시즌 내내 푸이그의 강한 어깨는 실보다 득이 더 컸다. 그런데 결정적인 순간 대량 실점의 빌미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