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채권시장 경색으로 기업들의 자금줄이 꽉 막히자, 정부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α 규모'로 확대해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23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최근의 회사채 시장과 단기 금융시장의 불안 심리 확산과 유동성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50조원+α 규모'로 확대한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가동하는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은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20조원,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지원 10조원 등이다.
추 부총리는 "이 가운데 20조원 규모의 채안펀드는 1조6000억원 규모의 가용재원을 우선 활용해 24일부터 회사채·CP(기업어음) 매입을 재개하겠다"고도 했다.
정부는 레고랜드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 등으로 회사채 시장의 불안감이 확산하자 이날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추 부총리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감원장, 최상목 경제수석 등이 참석해 최근 회사채시장과 CP 등 단기자금시장 점검 결과를 공유하고 시장 안정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업계에 따르면 24일부터 오는 12월 말까지 연내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ABS 포함·CP 제외) 규모는 약 13조9200억원이다. 내년 상반기(1∼6월)에는 추가로 54조3400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해 다음 주부터 내년 상반기까지의 회사채 만기 규모만 총 68조2500억원이다.
만기가 돌아오면 자금을 상환하거나 새로 회사채를 발행해 만기 회사채를 갚는 '차환'이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최근 시장은 발행금리 급등과 수요 부진 등으로 회사채 차환 발행이 어려워지는 등 경색이 심화하고 있다.
업계는 현재의 회사채 시장 경색을 기준금리 인상 추세 속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분석한다. 통상 회사채는 국채보다 신용도가 낮아 국채보다 더 많은 이자를 줘야 발행이 가능하므로 국채 금리 상승기에는 회사채 금리도 덩달아 오른다.
하지만 여기에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증권 위기가 대두됐고, 이 와중에 강원도 레고랜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사태로 지방자치단체의 신용보강에 대한 신뢰가 뒤흔들려 투자심리가 더 위축됐다.
이에 추 부총리는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와 CP 매입 프로그램의 매입 한도를 기존 8조원에서 16조원으로 2배로 확대해 시장 불안을 안정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또 "이러한 유동성 지원을 충분히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한국은행 대출 등의 적격담보 대상 증권에 국채 이외에도 공공기관채, 은행채 등을 포함하는 방안을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신속히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