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후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롯데자이언츠와 LG트윈스의 경기 후 이대호의 은퇴식이 열렸다. 이대호가 차량에 올라타 그라운드를 돌며 팬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부산=김민규 기자 이대호(40)는 그라운드를 떠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롯데 자이언츠 우승'을 염원하고 당부했다.
이대호는 지난 8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전을 끝으로 은퇴했다. 이날 은퇴식에서 이대호가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가 바로 '우승'이다. 부산과 롯데를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국가대표 4번 타자로 활약한 그였지만 "내 야구 인생은 50점"이라고 낮게 봤다. 그 이유를 "어린 시절부터 좋아했던 이 팀(롯데)에 우승을 안기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8일 오후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롯데자이언츠와 LG트윈스의 경기 후 이대호의 은퇴식이 열렸다. 이대호가 은퇴식 중 눈물을 닦으며 고별사를 읽고 있다. 부산=김민규 기자 이대호는 9일 기준으로 올 시즌 142경기에 출전해 타율 0.331(4위) 119안타(4위) 23홈런(공동 5위) 101타점(4위)을 기록했다. 많은 후배가 "더 뛰어달라"고 부탁했을 정도다. 전성기였던 2010년에는 타격 7개 부문 1위를 휩쓸기도 했다. 타격왕 3회, 홈런왕과 타점왕은 각각 두 차례씩 거머쥐었다. 통산 성적은 1971경기 타율 0.309 374홈런 1425타점.
한국 야구를 대표한 이대호도 혼자 힘으로 달성하기 어려웠던 것이 바로 우승이다. 국가대표와 일본 프로야구 소프트뱅크에서 우승을 맛봤지만, 2001년 입단한 롯데에선 17시즌을 뛰는 동안 한 번도 정상에 오르지 못했다. 그는 "일본에서 우승했을 때 기분이 좋았다. 당시 '롯데가 우승했으면 더 많이 울고, 부산 팬이 더 많이 좋아할 거 같다'고 말한 기억이 난다"고 회상했다.
이대호는 미국 메이저리그(시애틀 매리너스)를 1년 경험하고, 2017년 4년 총 150억원에 계약하며 롯데 복귀를 선택했다. 그해 정규시즌 3위로 포스트시즌 무대를 경험한 뒤 5년 연속 가을 야구 문턱을 넘어서지 못했다. 이대호는 "우승하고 싶어서 한국에 돌아왔는데 후배들한테 짐을 맡기고 떠나는 게 미안하다. 롯데 팬에게 우승을 선물하고 싶었다. 그걸 못 이뤄 죄인이라고 생각한다. 죄짓고 떠나는 기분이라 마음이 편하지 않다"고 했다.
이대호는 선수들에게 책임감을 당부했다. 그는 "고(故) 최동원 선배의 정신력을 깨닫는다면 이른 시일 내에 우승할 것으로 본다. (최동원 선배의) 희생정신이 없었다면 (1984년) 우승도 못 했을 것이다. 후배들에게 항상 희생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대호가 신동빈 롯데 구단주에게 실제 사용한 글러브를 선물로 전달하고 있다. 부산=김민규 기자 구단의 적극적인 지원도 요청했다. 올 시즌을 앞두고 프랜차이즈 스타 손아섭이 4년 총 64억원의 FA 계약으로 경남 라이벌 NC 다이노스로 떠나자, 이대호는 "다른 팀은 전력 보강을 하는데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우리는 오히려 선수가 빠져나갔다"라고 아쉬워했다. 삼성 라이온즈로 FA 이적한 강민호와 함께 롯데를 떠난 두 후배들를 이날 특히 안타까워했다.
마침 이날 은퇴식에는 구단주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신 회장은 이대호에게 등 번호 10번이 새겨진 영구결번 기념 반지 한 쌍을 선물했고, 이대호는 자신이 쓰던 1루수 미트로 답례했다.
이대호는 신 회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발표한 은퇴사에서 "앞으로 더 과감하게 지원해주시고, 특히 성장하는 후배 선수가 팀을 떠나지 않고 잘 성장하게 보살펴달라"고 말했다. 또한 "(롯데) 그룹에서도 힘을 써서 롯데 팬이 염원하는 우승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롯데가 투자에 인색한 건 아니었다. 2019년과 2020년 총연봉 1위였다. 하지만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탈락했다. 투자 대비 효과가 떨어지자, 성민규 단장 부임 후 혹독한 '연봉 다이어트'를 실시했다. 올해 총연봉은 59억원으로 3년 전보다 40억원 이상 감소했다. 주축 선수의 이적으로 선수단 총연봉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롯데는 이대호가 떠난 내년 시즌을 대비해 이번 겨울 FA 시장에 뛰어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