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KNN시어터에서는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양조위의 올해의아시아영화인상 수상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이 현장은 양조위를 보기 위한 취재진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올해의아시아영화인상은 한 해 동안 아시아 영화 산업과 문화발전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아시아 영화인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양조위는 5일 열린 개막식에 참석해 레드카펫을 밟고 트로피를 받았다.
오랜만에 정상화된 영화제인 데다 양조위의 무려 18년 만의 ‘부산국제영화제’ 방문이다 보니 취재 열기는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비교적 뒤편에 앉는 취재 기자들은 앞부분에 쌓인 사진, 영상 기자들을 보고 절망했고(양조위가 전혀 보이지 않았기 때문), 모더레이터로 참석한 허문영 집행위원장은 질문을 하기 위해 손을 들고 있는 취재 기자들이 보이지 않아 오뚜기처럼 몸을 왔다 갔다 해야 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날 현장은 첫 질문부터 남달랐다. 오랜만의 ‘부산국제영화제’ 참석인 데다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까지 받았으니 보통이라면 이에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이 먼저 나왔을 텐데 양조위 특유의 깊이 있는 눈빛 연기를 칭송하는(?) 질문이 나왔다. 남다른 분위기에 시작부터 현장 분위기가 풀어졌다.
이어 부산을 다시 찾은 소감, 팬데믹 시기, 미국에서의 작업, 도전해 보고 싶은 캐릭터와 연기,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에 마련된 특별 세션 ‘양조위의 화양연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 아내인 유가령과 함께 입국한 만큼 그와 관련된 질문을 하고 싶었으나 치열한 질문 경쟁에 밀려 미처 마이크를 받지 못 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유가령은 앞서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리며 연예계 대표 ‘잉꼬부부’다운 금실을 자랑했다. 양조위와 유가령 부부의 레드카펫 동반 입장 등이 기대됐으나 아쉽게 이는 성사되지 않았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손을 들고 있는 수많은 취재진 사이에서 간택(?)을 받기 위해 어떤 기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깡충깡충 뛰었고, 어떤 사람은 “멀리서 왔으니 뽑아 달라”며 육성으로 외치기도 했다. 시간 관계상 쏟아지는 질문을 모두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한 허문영 집행위원장은 마지막 질문자를 선택할 권한을 양조위에게 넘겼다. “너무 죄송스러워서 이렇게 해야 욕을 덜 먹을 것 같다”는 허 집행위원장의 말에 양조위를 비롯한 모두는 웃음을 터뜨렸다.
“한국에 나를 좋아하는 젊은 팬들이 이렇게 많을 줄 몰랐다”던 양조위. 이렇게 팬심으로 뜨거운 한국에 다시 찾아주기를. 그때는 꼭 질문할 수 있게 마이크를 받을 수 있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