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 만족도가 가장 높은 중고거래앱은번개장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용 경험자 중 24%가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은 23일 중고거래앱 상위 4개사 소비자 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 4개사 종합 만족도는 평균 3.48점(5점 만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응답자 4분의 1(23.8%)은 개인 간 거래 과정에서 피해 경험이 있었다. 사업자별 만족도는 번개장터(3.63점)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당근마켓(3.60점), 헬로마켓(3.48점), 중고나라(3.22점) 순으로 집계됐다. 상위 2개 업체(번개장터·당근마켓) 간 종합 만족도 차이는 오차범위 내였다.
부문별 만족도는 거래 물품·거래정보 등 본원적 서비스에 대해 평가하는 '서비스 상품 만족도'가 평균 3.64점으로 높았다. 서비스 제공 과정 전반을 평가한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3.59점이었다. '서비스 체험 만족도'는 3.24점으로 낮았다. 서비스 품질 요인별 만족도에서 고객 불만족 해결 관련 항목(공감성)은 3.46점으로 점수가 낮았다.
서비스 상품 요인별 만족도에서는 '고객센터'가 3.48점으로 가장 낮았다. 세부 요인별 조사에서 '거래 물품' '등록·결제·배송'은 번개장터가, '거래정보' '고객센터'는 헬로마켓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였다.
중고거래앱의 주요 기능에 대한 만족도에서 '채팅 기능'이 31.4%(361명)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거래 및 구매 안전 서비스 기능'이 17.0%(196명), '판매자 신원 확인기능'이 16.0%(184명)' 순이었다.
주 거래 방법은 비대면 거래가 51.3%(590명), 대면 거래가 48.0%(552명)로 집계됐다. 구매·판매 모두 활용한다는 응답자가 59.7%(687명)로 가장 많았고, 구매만 22.9%(263명), 판매만 17.4%(200명)로 각각 나타났다.
1회 평균 거래 금액대는 1만원 이상~3만원 미만이 40.3%(463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만원 이상~10만원 미만(21.7%, 250명) 순이었다. 1회 평균 거래금액은 4만8891원이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개인 간 거래가 주로 이뤄지는 중고거래앱에서의 고객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고거래앱 사업자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