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인구 감소로 인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지방의 상황을 나타내는 말이다. 지난 3월 한국고용정보원은 전국 지자체 중 절반에 해당하는 113곳을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했다. 이곳은 저출산, 고령화 지역으로 인구유입 등 다른 변수가 없는 한 약 30년 뒤에는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역임을 의미한다.
29일 KBS1 ‘시사직격-그 많던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편에서는 30대 두 여성 PD가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된 자신의 고향을 찾아가 지방에 닥친 내밀한 현실을 여과 없이 들여다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먼저 이이백 PD의 고향인 충남 당진시 순성면의 모습이 전파를 탄다. 당진시는 철강 산업 중심으로 발전하여 2012년에는 시 승격까지 이뤘으나 현재는 소멸위험지역이다. 과거 각종 학원과 가게들로 활기를 띠던 거리였으나 현재 상가들은 비어 있은 지 꽤 오래된 모습이다. 곳곳에 붙어있는 임대 현수막은 소멸에 대한 경고를 예고한다. 또 다른 소멸위험지역 강원도 홍천군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박영미 피디의 고향인 홍천군 영귀미면은 도착 후 한참을 가야 사람을 마주칠 수 있었다는 후문이다. 자주 놀러 다녔던 친구의 집은 폐가가 되어있었고 몇 달 전엔 80년 된 초등학교마저 없어졌다고.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조차 없는 상황이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지방에 인프라가 감소하자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났고 이는 인프라 감소를 초래해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을 가속화시켰다. ‘시사직격’은 이날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 내고 청년들이 지방에 정착해 살기 위해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화두를 던진다. 두 피디는 학창시절을 함께 보낸 동창들에게 연락해 그들의 거취를 파악한다. 고향을 떠난 청년, 고향에 남아있는 청년, 고향으로 돌아온 청년들을 만나 그들의 속내를 들여다본다. 그런가 하면 방송은 지방의 인구감소를 여성의 일자리 관점에서 분석한다. 소멸위험지수란 65세 이상 인구 대비 20~39세 가임기 여성인구의 비율이다. 20~39세 여성인구가 소멸위험지역을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는 셈이다. 지방의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들이 내놓는 수많은 정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PD가 만난 여성 청년들은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수도권으로 가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다. 당진시의 인구유출을 막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는 철강산업단지에서도 여성 일자리는 남성보다 현저하게 부족했고 그나마 단기 계약직과 비정규직 위주로 고용되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