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엘비스’는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로큰롤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의 짧지만 찬란했던 삶을 그린다.
연출을 맡은 바즈 루어만 감독은 ‘로미오와 줄리엣’, ‘물랑 루즈’, ‘위대한 개츠비’ 등 유독 영상과 음악을 함께 다룬 작품에서 탁월한 연출력을 선보인 바 있다.
엘비스 프레슬리(오스틴 버틀러 분)는 트럭을 운전하며 음악의 꿈을 키우던 무명 가수에 불과했다. 어머니의 생일 선물로 만든 음반을 통해 조금씩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며 지역 라디오의 ‘헤이라이드’ 무대에 선다. 어디서도 본 적 없는 강렬한 춤과 음악으로 무대를 압도하는 엘비스를 본 매니저 톰 파커(톰 행크스 분)는 매의 눈으로 엘비스의 스타성을 간파한다. 파커는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엘비스의 인생을 조종하고, 결국 파국으로 몰아넣은 사람이기도 하다.
원석을 다듬어 탄생한 이 세기의 록스타는 커리어에 정점을 찍을쯤 음악적 진정성과 비즈니스 세계, 자신의 정체성과 무대 위 가식 사이에서 혼란을 겪는다. ‘엘비스’는 기존 스타를 다룬 전기 영화의 전형을 따른다. 다만 파커의 욕심은 여느 매니저보다 훨씬 악독하게 표현된다. 난쟁이를 데리고 다니며 쇼를 하던 그가 컨트리 음악 공연사업에 손을 댔다가 엘비스를 발견하고 돈 냄새를 맡는 것.
파커는 수십 년 동안 수입의 절반을 떼가고 모범적 이미지가 필요하다며 군대에 보내는가 하면, 관계가 틀어지자 수백만 달러의 비용을 청구하는 모습을 보인다. 오스틴 버틀러와 톰 행크스는 애증으로 얽힌 엘비스와 파커의의 미묘한 관계를 마치 자신처럼 그리며 긴장감을 더한다. 파커는 엘비스의 퍼포먼스에 열광하는 백인 소녀들의 눈빛에서 성공을 직감한다. 팬들은 외설적 춤동작에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거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엘비스가 일으킨 센세이션과 그를 감옥에 보내야 한다는 백인 보수층의 분노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 하지만 엘비스에게 다리를 떠는 춤동작은 비즈니스 수단이 아닌 정체성의 표현이었다.
영화는 종종 독백하는 파커의 시선으로 엘비스의 삶을 재구성한다. 록 음악의 역사에서 엘비스의 명성과 영향력에 비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에서는 다양한 명곡의 노랫말이 인생 궤적을 이해하는 참고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7월 13일 개봉. 159분. 15세 관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