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사의 2021 임금협상 상견례 모습. 연합뉴스 현대중공업 노사가 2021년 임금협상 2차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지만 노조원들의 반발로 또 다시 부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1일 현대중공업 노조에 따르면 부결된 1차 잠정합의안과 비교해 2차 합의안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인식이 가득하다. 지난 10일 현대중공업 노사는 1차 합의안보다 기본급 5000원을 더 올리고 같은 연차라도 임금에 다소 차이를 두는 것을 중심으로 한 2차 합의안을 마련했다.
개선안에는 어렵고 고된 작업을 하는 노동자에게 더 많은 직무환경 수당을 주기 위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오는 6월부터 적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파업까지 하며 투쟁했지만 기본급 5000원 상승 외 이렇다 할 개선안이 없어 노조원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집행부는 사퇴’ 요구도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노조원들은 “이번 파업으로 쟁취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 사실상 2022년 사측 제시안을 받은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2차 잠정합의안으로 지난 달 27일부터 돌입한 파업을 중단했다. 하지만 노조원들의 기류상 12일 잠정합의안 찬반투표에서도 가결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2일 1차 합의안 부결한 지 40일 만에 노사 간 임금협상 교섭이 재개됐고,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과는 달리 8일 만에 빠르게 2차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1차 합의안 부결 후 49일 만에 추가 합의에 성공한 것이다.
지난 3월 노사의 1차 합의안은 기본급 7만3000원(호봉승급분 2만3000원 포함) 인상과 성과금 148%, 격려금 250만원, 복지 포인트 30만원 지급 등을 담았다. 하지만 1차 합의안은 조합원의 찬반투표에서 66.76%가 반대표를 던져 부결됐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해 임금협상을 연내 마무리 짓지 못하고 해를 넘겨 교섭하고 있다. 강대강으로 대치하던 노사는 장기 불황 끝에 맞이한 조선업 회복 흐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