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가 올해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인 첫 순수 전기차 'bZ4X'. 도요타 제공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앞다퉈 전기차 개발 계획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EV) 판매량이 처음으로 하이브리드차(HV) 판매량을 넘어서자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이미 전기차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어 향후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을 둘러싸고 한국과 일본 각축전이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하이브리드차 넘어선 전기차
20일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즈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 신차 판매 대수는 약 460만대로 조사됐다.
이는 2020년과 비교해 2.2배 증가한 수치로, 310만대에 그친 하이브리드 차량을 처음 넘어섰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 13일 이런 내용을 전하며 "각국이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보조금 지급은 물론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높은 성장률이 전체 판매량 확대로 이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기차 신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6배 상승한 291만대를 기록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보급 정책과 함께 저가 차종이 시장에서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GM우링은 2020년 500만원 안팎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전기차를 출시, 2021년에 약 42만대를 팔았다. 중국에서 한 해 판매되는 총 2627만대의 신차 가운데 전기차 비중이 처음으로 10%를 넘었다.
독일에서는 지난해 34만대의 전기차가 팔렸다. 2020년 대비 1.8배 증가한 수치다. 하이브리드 차량보다는 4배 큰 규모다. 미국 시장에서는 2021년에 약 80만대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팔렸다. 하지만 전기차도 전년 대비 2배 많은 약 49만대를 기록하며 존재감을 높였다.
최근 세계 각국이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면서 전기차 시장은 향후 더욱 커질 전망이다. 세계적인 에너지 분석 기업인 S&P 글로벌 플래츠는 2030년 전기차 판매량은 2700만대로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약 30% 비중을 차지하고, 2040년에는 5700만대로 확대돼 점유율 약 54%로 내연기관차 판매량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혼다가 지난 2018년 델리모터쇼에 선보인 전기차 콘셉트카. 연합뉴스
"현대차 잡자"…11조엔 투자 나선 일본차
전기차 시장이 커지자, 하이브리드차 중심으로 신차를 선보이던 일본차 업체들의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혼다는 2030년까지 전기차·소프트웨어에 5조엔(약 48조2700억 원)을 투자해 세계 시장에서 전기차 30종을 내놓겠다는 사업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5조엔 가운데 3조5000억 엔은 연구개발에, 나머지는 설비 등에 투입된다.
2030년에는 전기차를 연간 200만대 이상 생산한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지난해 혼다는 자동차를 413만여 대 생산했다.
혼다는 또 2024년 전반기에 일본에서 100만 엔(약 965만 원)대 경상용 전기차를 출시하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도 내놓을 예정이다.
혼다의 판매량 가운데 40%가량을 차지하는 중국에는 2027년까지 전기차 10여 종을 투입할 계획이다. 미국에서는 제너럴모터스(GM)의 배터리를 탑재해 공동 개발하는 전기차 2종을 2024년 내놓을 예정이다.
도요타가 올해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인 첫 순수 전기차 'bZ4X'. 도요타 제공 도요타는 지난해 12월 2030년까지 전동차(하이브리드·연료전지·전기차 등)에 8조 엔(약 77조2400억 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 중 전기차에만 4조 원이 투입된다.
이 회사는 2030년 연간 전기차·연료전지차 판매량 목표를 350만대로 잡았으며 2030년까지 전기차 30종을 전 세계 시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의 경우 2030년까지 미국·유럽·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되는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구성할 예정이다.
작년 9월 도요타는 2030년까지 배터리에 1조5000억 엔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는데, 3개월여 만에 이를 2조엔(약 19조3106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닛산자동차는 2026년까지 5년간 친환경차 개발에 2조엔을 투입해 2030년까지 신차의 절반을 친환경차로 생산할 방침이다.
"일본에 안 져"…현대차도 전기차 강화
일본차 업체들이 전기차 개발에 나서면서 현대차와 기아를 보유한 현대차그룹과의 치열한 경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일본차에 맞서 최근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제패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내놨다.
먼저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2030년까지 전기차 라인업 총 17개 이상의 차종을 선보여 브랜드별로 현대차가 11개, 제네시스가 6개 이상의 전기차 진용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의 성공적인 출시에 이어 올해 아이오닉6, 2024년 아이오닉7을 차례로 내놓으며 2030년까지 SUV 6종, 승용 3종, 소상용 1종, 기타 신규 차종 1종 등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할 방침이다. 수익성이 높은 SUV를 중심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고 지역 특화 전략형 모델을 출시해 2030년 연간 152만대의 전기차를 판매할 계획이다.
제네시스는 2025년부터 모든 신차를 전동화차로 출시하는 데 이어 2030년까지 전기차 라인업을 SUV 4종, 승용 2종 등 6개 이상의 차종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을 2030년까지 10%로 확대하며, 전기차 등 미래 사업에는 95조5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기아, 지난해 LA오토쇼에서 공개한 대형 전동화 SUV 콘셉트카 ‘더 기아 콘셉트 EV9’. 기아 제공 기아는 2030년 글로벌 시장에 2022년 목표치 315만대 대비 27% 증가한 400만대를 판매해 양적 성장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차 비중을 52%까지 끌어올려 선도적인 전동화 브랜드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했다.
전기차 부문에서는 2023년 플래그십 모델인 EV9을 비롯해 2027년까지 매년 2종 이상의 전기차를 출시, 총 14종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도 120만대를 달성할 방침이다.
기술 중심의 상품성 강화 전략에도 집중한다. 2025년 출시되는 모든 신차에는 커넥티비티 서비스가 가능토록 한다. 무선 업데이트(OTA)를 통해 성능을 최신화·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고 2026년에는 선진 시장에 출시되는 모든 신차에 고도화된 자율주행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다. 기아는 이를 위해 앞으로 5년 동안 기존 계획 대비 5조 원이 증가한 총 28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한국차와 일본차의 개발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가 최근 전 세계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데, 이를 잡기 위한 일본 업체들의 행보도 빨라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