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 정지 표결 결과.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을 저지른 러시아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사실상 퇴출당했다.
유엔총회는 7일(현지시간) 긴급 특별총회를 열고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을 가결(찬성 93표·반대 24표·기권 58표)했다.
이에 러시아는 2011년 반정부 시위대를 폭력으로 진압한 리비아에 이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쫓겨난 두 번째 나라가 됐다.
또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이 유엔 산하 기구에서 자격 정지된 것은 러시아가 처음이다.
이번 결의안은 미국 주도로 추진됐다.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민간인들을 학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서방 국가들과 한국 등은 찬성표를 던졌지만 북한과 중국, 이란은 반대표를 행사했다.
결의안은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인권과 인도주의 위기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러시아의 인권침해 사례들을 적시했다.
표결에 앞서 세르게이 끼슬리쨔 주유엔 우크라이나대사는 "러시아의 행동은 도리를 벗어났다. 러시아는 인권침해를 저지르는 나라일뿐 아니라 국제 평화와 안보의 토대를 흔드는 나라"라고 비판했다.
겐나디 쿠즈민 주유엔 러시아차석대사는 "조작된 사건에 근거한 우리에 대한 거짓 혐의를 부인한다"고 맞섰다.
러시아는 자격이 정지가 돼도 명목상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 남을 수 있었지만, 결의안 채택 후 곧바로 탈퇴를 선언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