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전경 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네시아에 완성차 생산거점을 구축,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는 16일 인도네시아 브카시시델타마스 공단에 있는 인도네시아 생산공장에서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인도네시아는 현대차 미래 모빌리티 전략의 핵심 거점"이라며 "현대차 공장은 인도네시아 미래 산업의 주요 축을 담당하게 될 전기차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은 77만7000㎡ 규모 부지에 조성돼 올해 말까지 15만대, 향후 25만대 규모의 연간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총투자비는 제품 개발과 공장 운영비를 포함해 15억5000만 달러(1조9240억원)이다.
인도네시아 공장은 엔진과 의장, 도장, 프레스, 차체 공정에 더해 모빌리티이노베이션 센터까지 갖춘 현대차 최초의 아세안 지역 완성차 공장이다.
특히 수도 자카르타에서 40㎞, 최대 항만이자 동남아 해운 중심지인 탄중프리오크에서 60km 떨어져 있어 인도네시아 내 판매는 물론 아세안 다른 국가로의 수출이 용이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
현대차는 이날 준공식 이후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 양산을 개시한다. 이는 인도네시아 진출 브랜드가 만드는 첫 현지 생산 전기차다.
인도네시아는 니켈, 망간 등의 자원에 기반해 '전기차 산업의 허브'가 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어 현대차 공장은 현지 전기차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이 밖에도 지난 1월 공장에서 양산돼 2월부터 시장에 판매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크레타도 인도네시아에서 현대차 브랜드를 알리는 데 역할을 할 전망이다.
현대차 공장은 상반기에는 싼타페를, 하반기에는 아세안을 겨냥한 소형 다목적차량(MPV)을 생산한다. 소형 MPV 차명은 '스타게이저'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전경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을 바탕으로 전기차 현지 생산 계획을 구체화하고, 인구 6억명에 달하는 아세안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과 손잡고 작년 9월 인도네시아 카라왕 지역 33만㎡ 규모의 부지에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건설 중이다.
배터리셀 합작공장은 내년 상반기 완공돼 2024년 상반기 중 배터리셀 양산을 시작한다. 이 배터리셀은 2024년부터 생산되는 현대차와 기아의 전용 전기차에도 장착된다.
관세가 높은 편인 아세안은 아세안자유무역협정(AFTA)에 따라 2018년부터 부품 현지화율이 40% 이상일 경우 협정 참가국 간 무관세 혜택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생산된 현대차를 아세안 국가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2019년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맺은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에 따라 철강과 자동차 부품을 한국에서 인도네시아로 보낼 경우 높은 관세로 손해가 발생하는 등의 불합리한 대우를 받지 않게 됐다.
현대차는 이런 유리한 생산조건을 활용해 판매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먼저 소비자 주문을 받아서 제품을 생산하는 '주문 생산 방식'(BTO)을 인도네시아에 적용한다. 또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현지 완성차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이에 따라 온라인 판매 플랫폼인 '클릭투바이'(Click to Buy)와 인도네시아 브랜드 최초로 온라인에서 금융·결제까지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된다.
또 인도네시아 주요 쇼핑몰에 딜러가 상주하는 오프라인 거점 ‘시티스토어’를 10곳 열었다. 현재 100개인 딜러망도 150개까지 늘려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