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이 음식이 아닌 상품들의 배달을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이커머스'로서의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그동안 '푸드테크 기업'을 내세우며 음식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업으로 직진해 왔던 것에서 노선을 튼 것이다.
18일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에 따르면, 지난달 말부터 '배민스토어'라는 이름의 카테고리를 신설해 시범 운영하고 있다. 배민스토어는 뷰티·패션·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다.
입점 브랜드로는 신발 편집숍인 '폴더(FOLDER)', 뷰티 편집숍 '아리따움', 꽃배달 서비스 '꾸까(KUKKA)', 친환경 식품 전문점 브랜드 '올가(ORGA)' 등이 있다.
아직은 서울 강남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지만, 서울 내 다른 지역에서도 배민스토어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본지에 "배민스토어는 고객에게는 원하는 상품을 문 앞으로, 판매자에게는 더 많은 고객을 손쉽게 만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지난해 12월 말 시작한 서비스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배민스토어가 앞서 내놓은 배민의 '전국별미' 카테고리와 비슷하다고 했다. 전국별미는 각 지역의 과일·채소 등 우수한 특산물을 자택으로 쉽게 받아볼 수 있고, 지역 소상공인은 새로운 판로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상생' 콘텐트다.
이 관계자는 "배민스토어 역시 소상공인의 판로 확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며 "배민 앱 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도 충족시키고자 했다. 기존 배민 앱을 활용하던 식당 사장님뿐만 아니라 소상공인도 배민 앱을 하나의 유통 채널로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아리따움'의 제품을 배민스토어를 통해 주문하면 본사에서 상품을 배송하는 것이 아닌 해당 지역 아리따움 가맹점에서 배송해 매출이 가맹점주에게 잡히는 식이다.
배달의민족의 신규 카테고리 '배민스토어' 배달은 입점업체가 자체 또는 대행 계약을 맺어 진행한다. 현재 폴더 제품의 경우 강남·서초구 내 일부(논현동·역삼동·서초동·반포동)에 대해 배민커텍트로 배달한다. 이 밖에 올가와 꾸까, 아리따움은 판매자가 직접 배달하는 방식이다.
배달 소요시간은 1~3시간가량으로, 이미 고객 리뷰에서 '배송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드러나고 있다.
꾸까의 한 상품 리뷰에는 "배송이 한 시간 만에 오고 괜찮았다" "선물용 꽃이 급하게 필요한데 꽃집 갈 시간이 없어서 주문했다. 예상시간보다 배달이 빨리 왔다" 등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배민은 '배달'에 강점을 두고 배민스토어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입점업체가 점차 확대되면 '당일 배송' 받을 수 있는 상품이 많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거주지 근처의 음식을 배달하는 것처럼 소상공인의 제품들, 예를 들면 옷이나 신발·가방 같은 것들까지 배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는 배민이 수익성 확대를 위해 '이커머스'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고 본다. 배달앱 업계 경쟁 격화와 라이더 인건비 상승 등 위기를 돌파할 해법 찾기에 나섰다는 얘기다. 당초 '좋은 음식을 먹고 싶은 곳에서'라는 비전으로 푸드테크 기업을 내세우던 우아한형제들이었지만, 지난해 11월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가 '우아한테크콘서트2021'에서 “배민은 음식 배달앱을 넘어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선언하며 이커머스 전환에 방점을 찍었다.
특히 딜리버리히어로라는 새 주인을 맞은 배민은 다시 '흑자 전환'을 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일 수밖에 없다.
우아한형제들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지난 2020년 매출은 1조994억원을 기록, 두배 성장했다. 전년 매출은 5654억원이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019년 -364억원, 2020년 -112억원으로 2년 연속 손실이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배민스토어가 나중에는 전국별미처럼 소상공인분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