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가상화폐)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도가 계속해서 높아지면서 대선 현장에서 정치권 인사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최근 “후원이나 선거자금 펀딩도 NFT(대체불가토큰)를 이용해 해볼까 계획하고 있다”고 말해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후보는 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에서 기자들과 만나 “(NFT는) 다가오는 미래 산업의 한 축으로 외면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산업으로 받아들여 기회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종의 가상자산이지만 서로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가상자산과는 다르다. 현재 게임·예술품·부동산 등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는 데 쓰이고 있다. 이 후보는 NFT에 대해 “아주 간단히 이야기하면 변조·조작·복제가 불가능한 디지털 기념품 같은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디지털전환위원장이 지난 2018년 1월 11일 올렸던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반대 페이스북 글로 만든 ‘박영선 NFT 1호’는 최근 300만원에 팔리면서 주목받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디지털·혁신 대전환위원장은 지난 2일 페이스북에서 “박영선 NFT 1호가 2000 클레이, 약 300만원에 1월 1일 익명의 구매자에게 판매 완료됐다”며 “수수료(2.5%) 제외하고 1950 클레이가 들어왔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1호 NFT’는 발행 하루 뒤인 지난달 31일 오전 6시에 1000 클레이(약 150만원)에 구입 오퍼가 들어왔고, 하루 만에 두 배로 뛴 300만원에 거래가 완료됐다.
이어 박 전 장관은 ‘2호 NFT’도 내놓았다.
김영호 작가의 박 위원장 캐리커처 그림에 “새해에는 새로운 희망과 미래를”이라는 문구를 담았다.
민주당 자체에서도 NFT를 발행해 이 후보의 선거 자금을 모집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선거자금 펀딩은 돈을 빌려주고 돌려받는 채권 약정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약정서를 NFT로 제공한다는 게 선대위 구상이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이 산업에 관심을 갖고 우호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분위기"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