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Z 플립3' 크림 색상. 삼성전자 제공 이동통신 3사가 삼성전자의 폴더블(화면이 접히는)폰 신제품 '갤럭시Z 플립3'(이하 갤Z플립3)에 혜택을 집중해 5G 점유율 경쟁에 나선다. 고가의 '갤럭시Z 폴드3'(이하 갤Z폴드3) 대신 교체 수요가 많은 갤Z플립3를 전략 제품으로 꼽은 것이다.
이통 3사는 17일부터 23일까지 갤Z플립3와 갤Z폴드3의 예약 판매에 돌입했다. 갤Z플립3의 예고 공시지원금이 최대 50만원으로 갤Z폴드3의 2배를 훌쩍 뛰어넘은 점이 눈에 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가격 측면에서 '갤럭시 노트'를 쓰던 사람들이 갤Z폴드3보다 갤Z플립3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며 "자체 조사 결과 아이폰을 비롯해 타 기기를 보유한 고객들이 갤Z플립3로 바꾸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홍보모델이 서울 강남 복합문화공간 일상비일상의틈에서 삼성전자의 3세대 갤럭시Z 시리즈를 체험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5G 요금제별로 이통 3사의 갤Z플립3 지원금을 살펴보면, SK텔레콤 25만5000~50만원, KT 25만5000~50만원, LG유플러스 26만8000~50만원이다.
데이터 완전 무제한을 보장하는 8만원대 상품에서 가장 많은 지원금을 주는 곳은 LG유플러스다. '5G 프리미어 에센셜'(월 8만5000원)부터 50만원을 보장한다.
SK텔레콤은 월 8만9000원의 '5GX 프라임' 요금제에 48만원, KT는 월 8만원의 '슈퍼플랜 베이직' 요금제에 45만원의 지원금을 책정했다. 이보다 높은 요금제의 지원금은 50만원으로 같다.
여기에 추가 지원금 15%가 붙는다. 10만원대 요금제에 가입하면 총 57만5000원을 할인받아 갤Z플립3의 가격이 67만9000원까지 낮아진다.
SK텔레콤·KT 홍보모델들이 삼성전자의 3세대 갤럭시Z 시리즈를 소개하고 있다. 각 사 제공 갤Z플립3는 부담 없는 가격에 성능과 디자인을 모두 챙겼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전작 대비 4배 커졌다. 스마트폰을 열지 않아도 최대 8줄까지 알림이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금융 플랫폼 '삼성 페이'를 바로 실행해 결제할 수도 있다.
원하는 각도로 고정하는 '플렉스 모드'를 활용하면 두 손이 자유로워 더 멋진 '셀카'를 찍을 수 있다. 촬영 인원에 따라 자동으로 구도를 조절하는 '자동 프레이밍',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과 찍히는 사람이 동시에 화면을 볼 수 있는 '듀얼 프리뷰' 등을 지원한다.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를 겨냥한 화사한 색상과 세련된 투톤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갤Z플립3는 오는 27일 256GB 내장 메모리 모델로만 출시되며, 출고가는 125만4000원이다. 크림·그린·라벤더·팬텀 블랙 4종으로 나오며, 그레이·핑크·화이트 3종은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 독점 판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