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선수촌에 TV와 냉장고가 없다는 비판에 대해 "유상 대여 대상이고 선수단의 요청이 있어야 제공한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data/isp/image/2021/07/22/isp614fe720-a74e-4b5a-900c-cd83300dd6e8.jpg)
22일 일본 현지 언론은 이날 다카야 마사노리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대변인이 선수촌 시설에 대한 지적에 "기본적으로 냉장고, TV는 유상 대여 대상"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다카야 대변인은 "적절한 시점에 주문이 있었다면 조직위가 제공할 책무가 있고 당연히 하고 있다"면서, 문제를 제기한 러시아 측에서 요청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향후 요청이 있다면 "가능한 유연하게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1988년 서울올림픽부터 9번째 올림픽에 참가한 일가 마메도프 러시아 펜싱대표팀 감독은 선수촌 방이 너무 좁아 "중세 같다"고 비판했다.
![](/data/isp/image/2021/07/22/isp2af790c5-00d9-4284-9e05-0c559e6dc868.jpg)
이밖에 4~5명의 선수가 머무는 객실에 화장실이 1개뿐이고 TV와 냉장고가 없으며 에어컨 리모컨이 일본어로만 돼 있는 등 이곳저곳에서 문제가 불거졌다.
![](/data/isp/image/2021/07/22/isp6a50430a-8d84-4294-9427-2313af70811f.jpg)
내구성이 의심되는 '골판지'로 만든 침대도 선수들의 불만을 샀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탁구와 유도, 레슬링 등 메달 유망 종목 선수들은 외부 숙박 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드러나 '특혜 논란'을 빚었다.
![](/data/isp/image/2021/07/22/isp9a701cc2-f59c-4d06-b8c7-51a37eb66367.jpg)
이에 미국 여자 체조대표팀도 선수촌이 아닌 호텔에 머물기로 결정했다.
또 미국 대표팀은 후쿠시마산 식자재가 제공되는 선수촌 음식 대신 자국에서 공수한 음식을 먹기로 했다.
앞서 일본은 선수들에게 별도의 도시락을 제공하기로 한 한국 정부에 대해 "후쿠시마 주민의 마음을 짓밟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