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중 거인 군단의 뒷문이 심하게 요동친다. 좋은 날과, 안 좋은 날의 차이가 엄청나게 크다.
현재 롯데 마무리 투수는 김원중(28)이다. 주로 선발 투수로 활약해온 그는 지난해 보직 전환해 철저한 관리를 받았고, 올해 역시 롯데의 뒷문을 책임지고 있다.
그는 지난해 5승 4패 25세이브 평균자책점 3.94를 기록, 마무리 투수로서의 첫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올 시즌은 사정이 좀 다르다. 14일 현재 23경기에 등판해 2승 3패 8세이브 평균자책점 5.25를 기록하고 있다. 블론세이브만 벌써 4차례 기록했다. 10개 구단 마무리 투수 중 가장 많다.
세부 성적은 보면 그리 나쁘진 않다. 피안타율은 0.258로 10개 구단 마무리 중 7번째로 높다. 지난 9일까지만 하더라도 0.203으로 굉장히 낮았다.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은 1.29로 마무리 투수 중 LG 고우석(1.04), 한화 정우람(1.23)에 이어 세 번째로 좋다. 볼넷이든 안타 등 어떤 식으로든 내보내는 출루가 적은데, 자책점과 블론세이브가 많다는 건 결국 불안감을 준다.
이유는 기복 탓이다. 좋은 날은 압도적인 모습이다. 반대로 부진할 날엔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와르르 무너지기 일쑤다.
지난 10일 사직 두산전 4-1로 앞선 9회 초 등판하자마자 연속 3안타를 내줬고, 결국 4-4 동점까지 허용했다. 2사 1루에서 상대 도루 실패 속에 가까스로 이닝을 마쳤다. 13일 KIA와 더블헤더 1차전에선 8-4로 앞선 9회 등판했다. 세이브 요건이 아닌 상황에서 올랐는데, 8-6까지 추격을 허용한 뒤 2사 만루까지 내몰렸다.
롯데 김원중이 5월 26일 사직 LG전 9회 2사 후 유강남에게 역전 2타점 적시타를 맞고 고개를 떨구고 있다. 김원중은 최근 10차례 등판 가운데 6경기에서 무실점했다. 이 6경기에서 총 7이닝을 던지는 동안 내보낸 주자는 볼넷(2개)과 안타(1개)로 총 3명이었다. 그런데 나머지 실점을 한 4차례 등판은 모두 2점 이상 뺏겼다. 4경기 동안 총 15번의 출루를 허용했다. 김원중은 올 시즌 실점한 6경기에서 1점-4점-2점-2점-3점-2점으로 마무리 투수로는 꽤 많은 실점을 했다.
4월 0.93이었던 평균자책점은 5월 들어 8.64로 치솟았다. 이달 역시 7.50으로 아주 높다. 시즌 평균자책점은 5.25로 올랐다.
김원중은 140㎞ 후반대의 빠른 공을 자랑한다. 하지만 상대는 이를 간파, 직구를 노린다. 10일 두산전에선 아웃카운트 3개를 잡고 피안타 4개를 허용하는 동안 투구 수가 13개였다. 피안타 4개 중 3개는 3구 이내 직구를 받아친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김원중의 직구 피안타율은 0.360으로 굉장히 높다. 지난달에는 직구 초구 피안타율이 상당히 높았다. 직구 비율이 한때 60%대였는데, 현재 시즌 평균 40% 중반까지 떨어졌다. 즉 변화구 승부가 늘어난 것. 그러면서 제구력이 흔들린다. 13일 KIA전에서는 볼넷 2개를 내주며 화를 자초했다. 스트라이크 비율은 겨우 48%(33개 중 16개)였다. 직구는 고작 6개(18%) 던졌다. 경기를 풀어나가기 힘겨워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