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복제약)가 유럽에 이어 일본 시장에서도 오리지널 의약품을 따라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0일 유방암과 위암 바이오시밀러인 허쥬마가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일본에서 트라스투주맙 의약품 시장의 47%를 점유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의 허쥬마는 로슈가 판매하는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허쥬마를 2018년 8월 일본에 출시했고, 2년 반 만에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는 성과를 얻고 있다.      
 셀트리온은 유럽에서 이미 바이오시밀러가 오리지널 의약품에 점유율 역전을 이뤄냈다.     
 지난해 4분기를 기준으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는 점유율 52.9%를 기록하며 오리지널 의약품 레미케이드의 점유율 25.4%를 배 이상 따돌리고 있다.     
 또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도 35.5%의 점유율로 오리지널 의약품 리툭산(34.4%)을 넘어섰다.      
 허쥬마는 2019년 2분기 점유율이 0%대로 미미했다. 그러다 그해 8월 후생노동성이 허쥬마를 유방암 '3주요법'에 쓸 수 있도록 허가하면서 처방이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트라스투주맙 성분 의약품은 유방암 환자에 연간 52회 투여하는 '1주요법'과 18회 투여하는 '3주요법'으로 쓰이고 있다.     
 일본에서는 3주요법으로 처방하는 환자가 90%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허쥬마는 현재 전 세계 77개국에서 품목허가를 받았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3월부터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북미 파트너사인 테바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미국 헬스케어 데이터업체 심포니헬스에 따르면 미국 시장 내 허쥬마의 시장점유율은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0.9%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본지에 "일본에서 시장을 지속해서 확대하면서 오리지널 의약품의 점유율과 거의 비슷해졌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