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되는 전기차 초급속충전기. 환경부 제공 내년 전기차 보급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에만 전기차를 10만대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올해 보급된 국내 전기차는 누적 13만4000여 대다. 여기에 내년 10만대를 추가 보급해 누적 23만대로 늘리고, 2025년까지 113만대로 대중화시킨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발맞춰 충전 시설도 확충된다.
정부는 내년에 예산 923억원을 투입해 고속도로 휴게소나 국도변 주유소, 도심 내 주유소·충전소 등 보다 접근성이 높은 이동거점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약 1600기 구축한다. 완속충전기 역시 주로 장시간 머무르는 주거지, 직장 등을 중심으로 8000기 이상 구축해 충전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 그동안 설치된 급속충전기보다 3배 더 빨리 충전이 가능한 350kW급 초급속충전기를 전국 주요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민관합동으로 70기 이상 구축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주로 설치됐던 100kW급 급속충전기로는 약 400㎞ 주행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를 80% 충전하는데 약 1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앞으로 350kW급 초급속충전기가 설치되면 약 20분 만에 충전할 수 있어 충전속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이 밖에도 그동안 전기차 전용 주차공간에 주로 설치해오던 독립형 완속충전기 외에도 콘센트형·가로등형 등 다양한 방식의 완속충전기를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충전문제로 전기차 구매를 망설였던 소비자들의 구매 수요를 대폭 늘린다는 구상이다.
'친전기차' 정책에 맞춰 완성차 업체들도 내년 신형 전기차를 대거 선보인다.
쌍용차의 첫 전기차 E100(코란도 이모션 프로젝트명) 티저 이미지. 쌍용차 제공 당장 현대차가 전용 플랫폼인 E-GMP 기반 전기차 아이오닉5를 내년 상반기 출시한다. 기아차가 CV(프로젝트명), 제네시스도 JW(프로젝트명)와eG80 등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들 차량은 모두 E-GMP를 도입해 1회 충전으로 5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쌍용차도 첫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E100'을 준비 중이다. 한국GM은 볼트 EV의 SUV 버전인 볼트 EUV로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밖에 수입 브랜드에선 테슬라가 모델Y를 벤츠가 EQA·EQS를 BMW가 iX·iX3 등을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