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스트리에프엔씨(FnC)의 간판 브랜드 '코오롱스포츠'의 모델 류준열과 김혜자, 인디밴드 새소년. 코오롱인더스트리에프엔씨 제공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패션 부문인 코오롱FnC의 실적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지난해 매출 1조원 달성에 실패하는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는 대규모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코오롱FnC는 한때 아웃도어 톱3로 꼽혔던 '코오롱스포츠'를 필두로 남성복 '캠브리지 멤버스', 여성복 '럭키슈에뜨' 등의 중견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간판 브랜드인 코오롱스포츠의 부진이 깊어지면서 코오롱인더스트리 실적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효자에서 아픈 손가락…코오롱FnC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6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5.3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최근 공시했다. 매출은 989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51% 감소했다.
패션 부문의 부진이 뼈아팠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다른 부문인 산업 자재와 화학, 석유 수지, 필름·전자재료 부문의 1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와 비슷하거나 최대 54%까지 늘어나면서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내에서 적자를 낸 부문은 코오롱FnC가 유일했다. 특히 패션 부문은 외형과 수익성 모두 부진했다. 매출은 1708억원으로 27.3% 감소했고, 영업손실 140억원을 기록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아웃도어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판매 감소까지 겹쳤다"며 "다른 부문이 비교적 건실한 실적은 낸 가운데 코오롱FnC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했다"고 말했다.
코오롱FnC의 부진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패션 부문은 지난 2013년 789억원의 영업이익으로 고점을 찍은 뒤 매해 실적이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업보고서 기준 9년 만에 매출 1조원 달성에 실패했다. 2017년 사내 영업이익 비중이 21.6%에 달했던 코오롱FnC는 2019년 7.8%까지 줄어들었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더는 패션 부문을 중심에 둔 기업이 아니라는 평가까지 나오는 배경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측도 "패션 부문의 동력이 다소 떨어진 것은 사실"이라면서 필름·전자재료 등 신소재 사업분야가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했다.
코오롱FnC 최근 5년 간 실적 과감한 모델 기용에도 올드한 이미지 탈피 실패
업계는 코오롱FnC의 간판 브랜드이자 46년 역사를 자랑하는 코오롱스포츠의 부진을 눈여겨보고 있다.
코오롱스포츠는 2010년 초반까지 토종 아웃도어 브랜드의 자존심으로 평가받았다. '노스페이스' '블랙야크' '밀레' 'K2' 등과 함께 1위 자리를 노리는 리딩 브랜드였다. 코오롱스포츠는 여세를 몰아 20대와 청년층을 신규 고객으로 끌어들여서 2015년까지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고 공언했다.
해외 시장 공략도 적극적이었다. 2013년 해외사업 확장을 위해 현지 기획 물량을 현재 30%에서 50%로 높이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3년 내 중국 3대 브랜드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코오롱스포츠는 2017년 이후 아웃도어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경쟁에서 뒤처졌다. '밀레' '헨리헨슨' '살로몬' 등의 아웃도어 브랜드가 사업을 접거나 구조조정을 거쳤다.
모두가 떠난 건 아니다. 노스페이스·블랙야크·K2·네파 등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다소 축소됐으나 비교적 건실하게 현장을 지키고 있다. 유연한 경험을 중요시하는 '라이프 아웃도어 웨어'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따라가는 동시에 온라인 강화와 스타 마케팅 등으로 분명한 타깃층을 정한 덕이다. 반면 코오롱FnC는 새로운 시장에 대한 대응이 다소 부족했다는 평가다.
'아저씨들의 아웃도어 브랜드'라는 올드한 이미지도 벗지 못했다. 코오롱스포츠는 과거 이민정·이승기·엑소 등 인기 있는 연예인을 두루 모델로 써왔다. 2017년부터는 배두나를 시작으로 배우 류준열과 김혜자, 영화평론가 이동진 등 대중적인 스타보다는 자신만의 개성이 강한 모델을 발탁했다. 저마다 고유의 매력을 지닌 좋은 모델들이지만, 코오롱스포츠의 올드한 이미지를 벗기고 10~20대를 끌어들이기에는 대중성 면에서 다소 부족했다는 평가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코오롱스포는 현재 리브랜딩 작업을 하고 있다. 고객과 소통을 다양화하고, 코오롱몰 등 온라인 투자도 하고 있다"며 "리브랜딩 속에서 온라인 중심의 브랜드를 인수하는 등 변화를 거치며 실적이 떨어진 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류준열, 김혜자 등의 모델 선정은 '자연을 즐기기에는 남녀노소가 없다'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다양한 노력이 맞물리면 향후에는 1분기와 다른 실적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