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보복성 수출규제가 일본여행 거부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여행 예약률은 반토막이 났고,취소율도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21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국내 해외여행객 유치 1위 업체인 하나투어의 일본 여행 신규 예약자 수는 이달 8일 이후 하루 평균 500명 선으로, 평소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나투어의 하루 평균 일본 여행 패키지상품 예약자 수가 하루 평균 1100~1200명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반토막이난 것이다.
모두투어도 이달 들어 18일까지 신규 예약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70% 줄었다. 예약인원 기준으로는 50% 감소했다.
일본여행을 가려는 사람들이 줄어들었을 뿐더러, 기존 일본 여행을 예약해 둔 고객들은 여행 자체를 취소하며 ‘불매’에 동참하고 있는 분위기다.
노랑풍선은 이달 들어 18일까지 일본 여행 신규 예약이 전년 동기보다 70% 감소한 것은 물론 예약 취소율도 50% 증가했다. 인터파크투어도 8일 이후 신규 예약은 50% 줄었고, 예약 취소도 2배가량 늘었고, 위메프도 최근 일본 항공권 취소가 평소보다 4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불 비율은 지난달 마지막 주 9%에에서 이달 첫째 주 15%까지 올랐고, 둘째 주에는 36%까지 치솟았다.
여행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그 타격을 업계가 고스란히 떠안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우리나라에 대한 보복성 수출규제로 촉발된 일본여행 거부 운동이 국내여행 상품의 판매 증가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어, 내수시장의 분위기는 긍정적이다.
국내 여행 및 레저 상품이 주력인 야놀자의 경우 7월 1~19일 국내 숙소 예약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증가했다. 고급 호텔과 펜션의 예약 비중은 75% 늘었고, 레저·액티비티 상품의 경우 전월보다 예약 건수가 2배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인해 국내 호텔업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어 보인다”며 “오히려 일본이 우리나라 해외 여행지 선호도 1위인데, 불매가 거세지면서 대체 여행지 수요가 증가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