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을 지배한 걸작 '기생충(봉준호 감독)'을 넘어 디즈니의 영향력으로 기세등등한 외화의 존재감이 압도적이지만, 극장가 최대 성수기라 불리는 여름시장을 놓칠리 없는 한국 영화다. 올 여름엔 24일 개봉하는 '나랏말싸미(조철현 감독)'를 기점으로 31일 '사자(김주환 감독)', '엑시트(이상근 감독)', 8월 7일 '봉오동 전투(원신연 감독)'까지 총 4편의 대작이 출격한다. 각 배급사마다 물밑 작업은 시작됐고, 업계 입소문부터 잡기 위해 각자의 방법대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식 홍보도 시작됐다. 개봉 수순에 따라 지난 달 25일 송강호·박해일·전미선 '나랏말싸미', 26일 박서준·안성기·우도환 '사자', 27일 조정석·윤아 '엑시트' 그리고 3일 유해진·류준열·조우진 '봉오동전투' 팀이 제작보고회를 통해 처음으로 영화를 소개했다. 폭풍전야나 다름없는 한 주 담금질을 15일 '나랏말싸미' 부터 언론배급시사회가 개최된다. 17일 '엑시트'에 이어 22일 '사자'가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사전 반응은 강자도 약자도 없다. 좋은 의미인지 그 반대의 의미일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 다만 최고 보다는 최선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5월 개봉작 '알라딘'이 기적의 1000만 영화에 등극, '기생충'이 990만 명을 넘어서며 1000만 관객에 육박한 만큼 올 여름시장은 사실상 6월부터 시작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관객들은 줄줄이 개봉한 명작의 향연을 흡족하게 즐겼고, 이슈와 화제성도 이미 떠들석하게 치렀다. 그만큼 진짜 여름 극성수기를 노리고 개봉하는 작품들에 대한 기대치는 예년만 못한 것이 맞다.
하지만 늘 그러했듯, 흥행의 신이 언제 어디에서 어떤 작품에 손을 내밀지는 아무도 모른다. 반전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고, 영화마다 자신하는 관전 포인트도 꽤 흥미롭다. 따지고 보면 '알라딘'도 개봉 초에는 기대작이 아니었다. 단 한 편도 겹치지 않는 장르적 매력, 안성기·송강호부터 박서준·류준열까지 현 영화계를 이끄는 신구세대가 총 출격한다는 지점은 흥행에 앞서 다양성 도전에 대한 의미를 더한다. "어차피 1위는 '라이온킹'"이라는 예측을 뒤집어 엎을 수 있을지 관건이다.
오컬트·엑소시즘·판타지·히어로·격투기·박서준…오리무중 '사자' '사자'는 격투기 챔피언 용후(박서준)가 구마 사제 안신부(안성기)를 만나 세상을 혼란에 빠뜨린 강력한 악(惡)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한국형 엑소시즘·오컬트 장르의 유니버스를 구축, 더 넓은 세계관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로 그 시발점을 알렸다. 김주환 감독은 "흔히 생각할 수 있는 판타지 요소들은 다 들어있다. 연작 가능성은 관객들의 사랑에 달려있다"고 당부했다.
'사자'는 '청년경찰'을 500만 흥행으로 이끈 김주환 감독과 박서준의 두 번째 의기투합 작품을 첫번째 포인트로 강조하고 있다. 흥행을 보증한다는 것.
박서준은 예비 경찰에서 프로 이종격투기 선수로 한 단계 더 발전한 변신을 꾀한다. 박서준과 함께 국민배우 안성기가 구마사제, 우도환이 악을 퍼뜨리는 검은 주교 지신으로 함께 해 강렬한 분위기를 완성했다.
배우들이 처음 시나리오를 보고 "이 영화가 가능할까" 생각했다는 것처럼 예비 관객들에게도 '사자'는 가장 궁금증을 자아내는 여름 영화다.
'검은사제들' '사바하' 등 대표 오컬트 영화와 궤를 같이 하면서도 스케일은 더 크다는 설명. 미국 로케이션 촬영을 강행했고, CG에 특수분장까지 볼거리가 만연하다. 특히 긴장감 넘치는 공포감을 바탕으로 관객들의 마음을 이끌 드라마 설정도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주환 감독은 마지막 4분30초를 강조하며 "모든 것을 다 쏟아부었다"고 자신했다.
화제성 ★★☆☆☆ 개봉 후 영화가 채워줄 빈칸 궁금증 ★★★★☆ 아무리 많은 이야기를 들어도, 종잡을 수 없는 실체다. 기대치 ★★★☆☆ 도 아니면 모 >>[여름대전③]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