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유아 용품 브랜드인 피셔프라이스가 유아 사망 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지목된 전동식 요람을 대량 리콜 조치했다. 피셔프라이스는 국내에서 '국민 요람'이란 애칭이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여서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 요람' → '죽음의 요람'
미국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지난 13일(한국시간) 피셔프라이스의 '로큰플레이' 요람 470만여 개가 리콜 처리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 제품에서 아기들이 몸을 뒤집었다가 천에 감겨 질식 등으로 숨진 사고가 지난 10년간 30건 넘게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제품은 2009년부터 40∼149달러대의 가격에 시판돼 인기를 끌었다. 위원회는 이 제품을 구매한 이들이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환불을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단 CPSC뿐이 아니다. 지난 9일에는 미국소아과학회(AAP)도 이 제품이 '치명적'이라고 판정하면서 리콜을 요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제품을 사용한 유아 중 3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성명서를 내고 "이 제품은 유아에게 아주 치명적이며 즉시 리콜 조치돼야 한다. 유아 사망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3개월 이상 된 아이의 부모는 이 제품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며 "아이의 안전한 수면을 위해 아이 혼자 자도록 내버려 둬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피셔프라이스는 되레 큰소리친다. 2015년 이후 이 제품을 사용하다가 숨진 아기가 10명 정도에 그치고, 막 뒤집기를 시작한 3개월 미만의 신생아뿐이었다는 것이다. 모기업인 마텔은 성명을 내고 리콜이 자발적으로 이뤄졌다면서도 제품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사망한 아기들은 보호자가 제품설명서에 명시된 주의 사항을 지키지 않아 벨트로 몸이 고정되지 않은 상황 등에서 몸을 뒤집었을 뿐이며, 제품 자체에는 이상이 없다는 것이다. 해외서 문제 된 유아 용품…국내는 무방비
문제는 이 제품이 국내에도 유입됐을 것으로 보인다는 데 있다. 14일 현재 포털 사이트에 로큰플레이를 검색하면 해외 구매 대행 등을 통해 한국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CPSC가 최근에야 리콜을 명령했기 때문에 한국소비자원 등에서 확인과 조처를 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5세 여아를 자녀로 둔 김영주(회사원)씨는 "피셔프라이스는 '국민 요람'으로 불릴 정도로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다. 이번에 문제가 된 제품은 아니지만 우리 집에서도 사용했다. 아이가 태어난 집에 가장 많이 선물하는 브랜드 중 하나가 피셔프라이스"라면서 "'벨트'를 차면 안전하다고 하는데, 애 키우는 집에서 벨트를 못 차는 날도 있고 실수로 풀어지는 사례도 있을 것이다. 솔직히 걱정된다"고 말했다.
해외에서 안전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유통·판매된 사례는 과거에도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2월 2018년 한 해 동안 유럽·캐나다·미국 등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모니터링해 총 132개 제품에 판매 차단·무상 수리·교환 등 조치를 취하도록 시정 권고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시정 조치된 132개 제품 중 아동·유아 용품이 38개(28.8%)로 가장 많았고, 이 중 51.3%는 부품 삼킴의 우려로 시정 조치를 받았다.
특히 아동·유아 용품 38개 중 노리개 젖꼭지 줄·딸랑이·바운서·치발기·유아 식탁의자·유모차·유모차 시트·유모차용 모빌·목욕 장난감·모빌 등 아기와 밀접한 용품이 20여 개에 달해 우려를 샀다.
한국소비자원은 "해외 리콜 제품은 글로벌 온라인 유통사를 통해 유통·판매되는 특성상 이미 판매가 차단됐더라도 다시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판매 차단 제품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유사·동일 제품의 재유통 여부를 확인하고 추가 조치하는 등 사후 감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