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10명 중 6명이 5일 상용화되는 5G 서비스를 이용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가 지난 3월 26일~28일까지 전국 20세 이상~59세 미만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5G 서비스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6명이 5G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인원은 63.5%(635명)으로 과반을 넘었다. '얼리어답터 등 사용후기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답한 인원은 26.9%(269명)이였으며, 9.6%(96명)는 이용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635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교체시기가 오지 않았더라도 5G 이용을 위해 휴대폰을 교체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47.7%가(302명) 5G 사용을 위해 휴대폰을 교체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휴대폰 교체시기 시, 5G를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52.3%(333명)로 나타났다.
5G를 이용하고 싶은 이유는 ‘초고속 속도를 체감하고 싶어서’가 75.6%으로 과반 이상이었다. 이어 '신기술을 남보다 먼저 사용하고 싶어서’가 38.6%, ‘고화질 동영상을 끊김없이 보고 싶어서’가 38.1%으로 나타났다.
5G의 연상되는 이미지로 '빠름/속도/초고속'이라는 응답이 65.8%로 나타났다. 이어서 '가상현실’이 4.4%, ‘자율주행’이 3.1%, ‘IOT/사물 인터넷’이 3.0% 순이었다.
기대되는 5G 서비스를 물어보는 질문에는 57.1%가 ‘초고화질 동영상’이 기대된다고 응답했다. 이어 ‘가상/증강현실’이 41.0%, ‘사물 인터넷’이 35.4%, 자율주행이 31.1%, 원격의료가 18.7%로 나타났다. ‘가상/증강현실’은 남성(45.9%)의 응답률이, ‘원격의료’는 여성(24.0%)’의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5G 서비스가 개인에게 영향을 어느 정도 미칠 것 같냐'는 질문에는 76.6%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영향 정도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9.1%이며, 4.3%는 ‘5G가 개인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40대(81.5%)와 50대(88.6%)에서 5G 서비스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5G 서비스가 국내 산업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79.1%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보통’이 18.3%, ‘영향 없을 것’이 2.6%로 나타났다.
5G 서비스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는 산업군으로 ‘자동차 산업’이 23.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게임 산업이 19.7%, 서비스 업이 17.5%, 의료 분야가 13.6%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