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지섭부터 김강우까지 무려 10명이 '2018 MBC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까지 포함한다면 무려 18명이 2부에서 트로피를 나눠가진 것. 무리한 상 나눠주기였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었다.
30일 오후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2018 MBC 연기대상' 시상식이 열렸다. 방송인 김용만, 배우 서현이 진행을 맡았다. 배우 소지섭이 '내 뒤에 테리우스'를 통해 대상 및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목극 부문 수상자로 호명돼 2관왕에 올랐다.
소지섭이 대상을 받은 것에 대한 이견은 없었다. 하지만 최우수상 시상 과정과 결과에 대해선 아쉬움이 남았다. 이번 시상식에선 지난해까지 황금연기상으로 상을 남발하던 것을 수정, 보완해 조연상으로 연속극, 주말극, 월화극, 수목극 부문으로 나눠 시상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최우수상 부문도 주말극, 연속극, 월화극, 수목극으로 나눠졌는데, 이마저도 두 부문에서 공동 수상이 나오면서 10명이 최우수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내 뒤에 테리우스' 소지섭부터 '붉은달 푸른해' 김선아, '검법남녀' 정재영과 정유미, '나쁜 형사' 신하균, '내사랑 치유기' 소유진과 연정훈, '데릴남편 오작두' 김강우, '이별이 떠났다' 채시라, '숨바꼭질' 이유리까지 최우수상 수상자였다.
하나의 상을 세세하게 나눈 데다 공동 수상까지 남발돼 무리한 상 나눠주기였다는 혹평이 나왔다.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수 없었다. 올 한해 활약한 사람들에게 모두 상을 주고 싶은 주최 MBC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그 정도가 과했다는 지적이다.
시청자들은 "최우수상만 10명이라니 그냥 다 상을 줄 생각이 아니었던가", "미니시리즈면 미니시리즈지 굳이 월화, 수목을 나눌 필요가 있나. 과하다" "A급 스타가 출연했다고 해서 다 상을 줄 필요는 없다. 개근상도 아니고"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받아야 할 사람이 받아야 상의 가치가 높아지는데, 상이 남발되다 보니 그 가치가 떨어진다는 입장인 것. 또 최우수상이 4개 부문으로 나뉘다 보니 시상 자체에도 소요된 시간이 길었다.
황소영 기자 hwang.soyoung@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