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한국
GM 노사가 28일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성과 없이 끝났다.
한국
GM 노사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1시간여 동안 부평공장에서 제3차 2018년도 임단협 교섭을 진행했다.
한국
GM은 3월 초 본사 제너럴모터스(
GM)의 한국 공장 신차 배정 결정을 앞두고 임단협을 통한 인건비 등 비용 절감 성과를 기대했지만, 일단 이날 협상에서는 사측의 교섭안이 거의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사측은 앞서 지난 22일 임금동결, 성과급 지급 불가 등을 포함한 임단협 교섭안을 마련해 우선 팀장급 이상 직원들에게 공유하고, 비공식적으로 노조위원장 등 노조 측에도 교섭안을 보냈다.
아울러 지난 13일 군산공장 폐쇄 발표와 함께 부평·창원·군산공장에서 동시에 받기 시작한 희망퇴직 신청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지금까지 2~3차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이런 조건의 희망퇴직 기회는 마지막"이라는 취지의 이메일도 발송했다.
하지만 이날 노조는 임단협이나 희망퇴직에 대한 언급 없이, 주로 정치권 등 일각에서 제기되는 한국
GM의 과도한 연구개발비, 부당 이전가격 등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답변을 요구했고, 사측은 해명에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가격은 다국적기업에서 여러 나라에 흩어진 관계회사들이 서로 제품·서비스를 주고받을 때 적용하는 가격을 말한다.
노조는 사측 교섭안에 대해 노조측의 교섭안이 따로 마련되기 전까지 일방적 사측 안만을 놓고 협상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교섭을 마치고 부평공장에서 버스를 타고 단체로 서울로 이동, 오후 2시부터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공장폐쇄 규탄 및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고 청와대 사랑채 앞까지 행진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