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은 전 새누리당 의원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식약처로부터 받은 편의점약품의 부작용 보고현황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약 1023건의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부작용을 보인 편의점 약품들은 대부분 어린이 관련 약품으로 어린이타이레놀현탁액 261건, 어린이부루펜시럽 166건, 어린이용타이레놀 17건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가 서울 및 수도권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안전상비의약품 편의점 판매에 대한 인식 및 구입 조사’ 결과, 응답자의 66.9%가 현재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수가 ‘적정하다’고 답한 반면, 심야 공공약국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8%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90%에 가까운 응답자가 심야 공공약국의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야간/공휴일 공공약국 운영 제도화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92%가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심야 환자 발생 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74.4%가 ‘야간/휴일 이용 가능한 의원이 연계된 심야 공공약국 도입’을 꼽았다.
이러한 리서치 결과는 가급적 심야시간대에 약사가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공공심야약국을 정책적으로 확대하자는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공공심야약국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힘을 받고 있다. 지난 2011년 유시민 전 국민참여당 대표는 일반의약품 편의점 판매 논란과 관련해 “240여 개 시군구에 심야약국을 설치하자”고 해법을 제시한 바 있다.
유시민 전 의원은 당시 ‘유시민의 따뜻한 라디오’를 통해 “편의점에서 일반의약품을 팔게 하는 정책이 편의제공이라는 목적을 이루는데 적절한가란 의문이 있다”라며 “여러 부작용, 예측하지 못한 역작용이 지적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약에도 유통기한이 있는데 편의점에서 판매하면 품질관리나 복약지도가 어려울 것”이라며 “약국의 수익을 가져다가 대자본계열에 있는 편의점에 갖다 주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고 말했다.
약사들은 유시민 전 의원이 제시했던 240개의 공공심야약국을 설립하기 위해 십시일반 후원해 공공심야약국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전국 33개 공공약국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한 채 주민들을 위해 심야시간까지 일하는 약국을 위해 약사들은 십시일반으로 연 6000만원을 모금해 심야약국이 영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후원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모금액 규모도 늘어나고 있다.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의 관계자는 “편의점 약품의 품목 수 확대를 통해 심야보건의료 공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오히려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라며 “공공심야약국의 공공의료체계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