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5명 중 4명은 은퇴 뒤에도 노후 생활 자금 마련을 위해 재취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원은 23일 '2017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보고서를 공개했다. 제주 지역을 제외한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2200명을 대상으로 노후 등과 관련된 설문 조사를 진행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 중 39%는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
’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생활비·교육비·의료비 등 시급하게 돈을 쓸데가 많아서
’라는 대답이 36.4%로 가장 많았다.
‘소득이 너무 낮아서
’도 30.3%로 뒤를 이었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
’고 응답한 이들은 주로 공적연금(52.6%)을 대비 수단으로 삼았다. 이어 은행예금(18.6%)·연금저축(13.6%)·부동산(7.3%) 등의 순이었다.
‘노후 생활 자금을 위해 재취업이 필요하냐
’는 질문에는 78.5%가
‘필요하다
’고 응답했다. 재취업을 통한 월 예상 소득은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이 62.6%로 가장 많았다.
개인연금 가입률은 28.7%로 저조한 편이었다.
개인연금 만족도는 69.6%가 만족하고 27.5%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불만족이라는 응답은 3.0%에 그쳤다.
하지만 앞으로 개인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지 물음에
‘있다
’는 응답은 23.6%로 낮은 편이었다.
다만 응답자의 대부분은 보험에는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당 보험 가입률은 97.0%로 지난해보다 0.7%포인트 늘었다. 생명보험 가구당 가입률은 84.9%, 손해보험은 89.5%다.
개인별 보험 가입률은 94.5%로 지난해보다 0.7%포인트 올랐다. 생명보험 개인별 가입률은 78.2%, 손해보험은 78.4%로 조사됐다.
지난 1년간 실손의료보험에
‘가입돼 있었다
’고 응답한 비율은 77.8%로 지난해 조사 때보다 9.5%포인트 상승했다.
조은애 기자 cho.eunae@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