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신성일(80)은 평생을 영화에 바쳤다. 1960년 신상옥 감독의 영화 '로맨스 빠빠'로 데뷔한 후 50년이 넘는 시간동안 500여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2013년 '야관문: 욕망의 꽃'에서 주인공 배역을 소화하는 등 최근까지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젊은 신성일은 청춘 스타의 표상이었고, 중년의 신성일은 한국영화의 산 역사다.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신성일의 특별 회고전이 열린다. 그가 출연했던 작품 중 대표작 8편이 상영된다. '맨발의 청춘'(1964) '초우'(1966) '안개'(1967) '장군의 수염'(1968) '내시'(1968) '휴일'(1968) '별들의 고향'(1974) '길소뜸'(1985) 등이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특별 회고전의 주인공 신성일은 15일 오전 직접 취재진과 인터뷰에 나섰다. 청바지와 재킷 차림의 그는 80세의 노배우라곤 믿기지 않을 정도로 활기찬 모습이었다. -부산국제영화제와 인연이 있나. "김동호 이사장이 문화관광부의 기획관리실장 차관까지 할 때, 그는 우리 영화하는 사람들과 인연이 깊은 관료였다. 어느날 부산국제영화제에 집행위원장을 하러 간다고 할 때 김동호 이사장과 우리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깊이 나눴다."
-50년이 넘는 시간동안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나이 드신 분들은 나를 딴따라로 안 본다. 나는 딴따라 소리를 제일 싫어한다. 딴따라 소리 들으려고 영화계에 뛰어든 게 아니다. 1967년에 부산에 영화를 촬영하러 와서 해변가를 걷고 있었는데 한 젊은이가 '딴따라 들어온다'고 하더라. 그 소리를 듣고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나 딴따라 아니다, 젊은이'라고 했다. 예전에 악극단이 나팔을 치면서 호객 행위를 한 것에서 나온 단어가 딴따라다. 영화 하는 사람들은 딴따라가 아니다.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종합예술이다."
-과거 작품들을 보면 어떤가. "어제도 '별들의 고향'을 보니까 이장호(감독)가 키스를 얼마나 많이 시켰는지.(웃음) 안인숙과 키스를 가장 많이 한 것 같다. 내가 청춘 영화에 많이 캐스팅 된 이유가 상의 탈의가 가능한 유일한 사람이라서라고 하더라."
-왜 더 빨리 회고전을 열지 않았나. "'회고전을 언제해야 한다'는 시기는 없다. '언젠간 하겠다'는 생각은 했다. 3년 전에 강수연 집행위원장과 김동호 이사장에게 '회고전 할 때 안 됐냐'고 물었던 적 있다. 그랬더니 '해야죠'라고 답하더라. 사람에 따라 시기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이가 80세가 됐다. 1960년대에 데뷔했으니 50년 넘게 연기했다. 이만한 나이에 회고전 하는 것이 딱 맞다고 생각한다."
-건강은 어떤가. "80세까지 사는 것도 굉장히 오래 살고 있는 것 아닌가. 타인에게 신세지지 않고 사는 게 사는 거다. 항암 치료를 받아보니까, 쓰러지고 먹질 못하는 사람들이 많더라. 나는 체력 관리를 잘 했다. 의사가 기적적이라고 한다. 치료 안 해도 되겠다고 하더라. 이제 일곱 번의 방사능 치료를 받으면 된다."
-8편의 대표작을 상영한다. "1981년에 전두환 전 대통령이 싫어서 다른 정당으로 갔더니 국회의원 선거에서 떨어졌다. 그때 한국 영화의 암흑기가 펼쳐졌다. 안성기가 겨우 한국영화를 끌고 갔다. 그러다 대학에서 학생을 가르쳤다. 아이들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다보니 대표작을 연도별로 외우고 있다. 공부를 안 할 수가 없지 않나. 지금은 감독 중심이지만 그때는 영화 주연이 끌고 갔다. 특히 '만추'는 최고의 영상 작품이다.요즘은 별별 매체로 영화를 본다. 그래도 영화는 영상미를 가지고 관객을 감동시키는 게 매력이다. 별별 매체로 영화로 보는 건 영화의 영상미와 본질을 놓치기 쉽다."
-가장 애정하는 작품은. "이만희 감독님의 '만추'다. 또 '휴일'도 '만추'에 버금가는 작품이다. 영화영상자료원에서 12년 전에 발굴했다. '휴일'도 '만추'와 비슷한 수준의 작품이다."
-'휴일'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면. "여주인공 문정숙씨가 여인으로서 무르익은 때였다. 눈만 봐도 남자를 갈구하는 빛이 난다. 그가 이만희 감독과 연애할 때였기도 하다. 그 작품은 나이 든 영화평론가들이 최고의 작품이라고 말하더라. 비하인드 스토리를 말하자면, '휴일' 제작자 부부의 아들이 홍상수 감독이다. 그가 상속자라 재산이 많다.(웃음) 홍상수 감독을 볼 때마다 그 부모가 생각나더라."
-앞으로의 계획은. "나는 (미래) 설계가 다 돼 있다. 내가 죽으면 어디 묻힐지까지 다 정해져있다. 지금은 '행복'이라는 작품을 준비 중이다. 요즘 영화들은 사람을 때리고 분노가 치밀어오르고 복수한다. 살벌하다. 영화의 본질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한다. 또한 여자주인공의 영화가 하나도 없다. 사내들만 나오니 따뜻하지 않다. 욕하고 때리기만 할 뿐이다. 과거 '친구'라는 작품을 보고난 후 '영화가 이래야하나'고 생각했다. 그때부터 한국영화에 진저리를 쳤다. '곽경택(감독)이라는 아이가 흥행을 시키기 위해 이런 대사까지 시켜야 하나'고 생각했다. 그 영화에 1000만 관객이 든다고 해서 우려스러웠다. 곽경택 감독에게 '영화인이 영화도 볼 줄 모르냐'고 말한 적도 있다. 따뜻한 영화를 해야 한다. 나는 복수극 보지도 않는다."
-또 다른 계획이 있나. "'행복'은 내년 봄에 촬영에 들어간다. 두 번째 작품은 김홍신 작가의 소설 '바람으로 그린 그림'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다. 저작권까지 다 받았다. 이렇게 2년 간의 계획이 다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