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7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글로벌게임허브센터에서 열린 게임산업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친게임산업 행보에 나섰다.
도 장관은 취임한 지 8일 만에 게임산업 현장을 찾아 업계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지원을 약속했다.
도 장관은 27일 오후 경기도 판교 글로벌게임허브센터를 찾아 중소 게임업체 푸토엔터테인먼트와 아우러를 돌아보고 게임산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도 장관은 이날 게임산업계의 규제 개선 요청에 대해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규제정책에서 벗어나 게임업계의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게임산업 자율 규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민관합동 게임규제개선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도 장관은 "게임산업의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하는 민관합동 게임규제개선 협의체를 구성해 사회적 공감을 얻는 자율 규제를 만들어낸다면 게임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관합동 게임규제개선 협의체는 한국게임산업협회, 모바일게임산업협회, 게임 관련 학회·전문가, 소비자 단체, 게임물관리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문체부 등이 참여하며 올 하반기부터 가동할 전망이다.
협의체는 게임물 자체 등급분류제, PC·온라인게임 결제 한도, 확률형 아이템 규제, 청소년 게임이용 시간제한(셧다운제도) 등 게임산업 현장의 법적·제도적 애로사항들을 검토해 자율 규제로 전환할 방안을 찾는다.
도 장관은 중소 게임사가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게임산업의 성장 사다리 조성을 위한 구상도 밝혔다. 게임산업 성장 사다리 펀드 조성,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유통·마케팅 지원 확대, 창업 보육 및 중소기업 종합 지원을 위한 게임부스트센터 구축 등 게임산업의 역동성 회복을 위한 정책을 강화해나가겠다는 것.
도 장관은 게임이 남녀노소의 건강한 여가가 될 수 있도록 게임문화 진흥정책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지원 넥슨코리아 대표, 권영식 넷마블게임즈 대표, 정우진 NHN엔터테인먼트 대표, 이기원 네오위즈 대표, 양동기 스마일게이트 대표,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 황성익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회장, 윤준희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회장,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김병관 의원 등 게임산업계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